1989년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 인조 때 김경여(金慶餘)의 별당건물로 그의 호를 따 송애당이라 하였다. 야산을 배경으로 한 서남향집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 크기이다.
내부 좌측 2칸통(間通)은 대청이고 우측 한칸통은 나누어 온돌방을 들였다. 온돌방 뒷면은 반칸을 안으로 들여서 반침(半寢:큰 방에 붙은 작은 방)을 두었고, 그 아래는 함실아궁이[函室焚口]로 이용하였고, 기둥은 각진기둥을 사용하였다.
공포가 없는 민도리집이나 기둥머리에 양봉형(樑奉形) 부재가 있고 꾸밈 초각(草刻 : 당초무늬를 세긴 것)이 있다. 대들보 위에는 양쪽에 동자주(童子柱 : 세로로 세운 짧은 기둥)를 세워 종량(宗樑)을 받쳤고, 제형대공(梯形臺工)은 모두 낮은 것을 써서 지붕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