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애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지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지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판본. 1925년 아들 계동(啓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복한(金福漢)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성기운(成璣運)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04수, 서(書) 31편, 권2에 제문 11편, 축문 4편, 권3에 잡저 2편, 권4는 부록으로 가장·행장·묘지명·묘갈명 각 1편, 만장 53수, 제문 19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와 서(書)는 대부분 당시의 국내정세와 민생실태에 대하여 서술한 것이다. 「애걸인(哀乞人)」에서는 춘궁기에 겪는 서민들의 참혹상을 읊었고, 「여박한여서(與朴漢汝書)」는 단발령이 내린 것에 대한 경악과 울분, 그리고 외세의 침투, 자주권의 상실 등 당시의 시대상황을 개탄하는 내용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