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

목차
관련 정보
식물
생물
벼과에 속하는 일년생 작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벼과에 속하는 일년생 작물.
내용

한자어로는 고량(高梁)·촉서(蜀黍)라고 하며 학명은 Sorghum bicolor MOENCH이다. 높이가 2m에 달하는 식물로 원줄기의 속이 충실하며 마디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0∼60㎝, 너비 6㎝ 내외로서 끝이 처지며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차츰 적갈색으로 된다. 큰 원추화서(圓錐花序:원뿔형의 꽃차례)에 많은 꽃이 밀생한다.

암꽃은 화경(花莖:꽃대)이 없고 길이 5㎜ 정도로서 넓은 도란상 타원형이며 밑부분에 속모(束毛)가 있다. 내영(內穎:이삭)은 길이 6㎜ 정도의 긴 까끄라기가 있으며 각 마디에 대가 있는 수꽃이 1, 2개씩 달린다.

원산지는 열대 아프리카이며 인도와 유럽에서 재배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서기전 6∼4세기경의 함경북도 회령읍 오동의 청동기시대 유적지에서 수수가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나 확실하지 않다. 다만 중국을 통해서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생산현황은 1960년대 후반에는 재배면적 1만6000㏊에 8,000t 정도가 생산되었으나 그뒤 재배면적이 계속 감소되어 1987년에는 1,750㏊에 2,293t이 생산되었다. 수수는 주로 재래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단작직파(單作直播)의 경우에는 5월 상순에 파종한다. 파종간격은 60×30㎝ 정도로 포기당 7·8립 파종하며 조파(條播)를 할 경우에는 10당 4l 정도를 파종하여 30㎝당 4·5본이 자라도록 한다.

시비량은 10a당 질소 8㎏, 인산 6㎏, 칼리 6㎏, 퇴비 1,000㎏이 적당하다. 이식혼작의 경우는 주로 보리의 뒷그루로 재배하는 콩과 혼작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는 묘를 키워서 이식한다.

묘판은 5월 중순경에 파종하고 부식퇴비·재 등을 밑거름으로 주어 기른다. 콩을 심은 뒤 6월 하순부터 7월 상순에 이식하는데 콩을 심은 4골마다 주당 1.5∼2m의 간격으로 포기당 5∼8본씩 이식한다. 이보다 촘촘하게 혼식하면 그늘이 지고 경합이 심하여 두 작물 모두 생육이 나빠진다.

수수는 크게 메수수와 찰수수로 분류되는데 찰수수는 밥에 섞어 먹거나 떡을 만들고 메수수는 사료나 양조용 곡물로 쓰인다. 특히, 수수는 색이 붉어서 어린아이의 돌이나 생일 때 못된 귀신의 접근을 막고 건강하게 자라라는 기원의 의미로 수수팥떡으로 만들어 먹인다. 또 이삭이 밑으로 처지는 수수품종은 이삭폭이 푸른 빛을 띨 때 잘라 말려서 비를 매어 사용한다.

참고문헌

『전작(田作)』(조재영 외, 향문사, 1980)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1982)
『농림수산통계연보』(농림수산부, 1987)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