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녕전 ()

목차
건축
유적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에 있었던 조선후기 제16대 인조의 비 인열왕후 한씨의 혼전인 궁궐건물. 전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에 있었던 조선후기 제16대 인조의 비 인열왕후 한씨의 혼전인 궁궐건물. 전각.
내용

제16대 인조의 비 인열왕후 한씨(仁烈王后韓氏)의 혼전(魂殿)이다. 혼전은 왕이나 왕비가 죽은 뒤 3년 동안 신위(神位)를 모시던 건물로 대개 궁안에 세우게 되며, 3년이 지나면 신위는 종묘(宗廟)에 옮기고 건물은 헐어버린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혼전을 주로 경복궁에 지었으나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소실되고 그 뒤 창덕궁과 창경궁만 재건된 까닭에 17세기부터 왕의 혼전은 창덕궁에 세우고 왕비의 혼전은 창경궁에 세웠다.

그 뒤 경덕궁(慶德宮 : 영조 때 慶熙宮으로 개칭)을 지은 뒤에는 이곳에 혼전을 세우기도 하였다. 1651년(효종 2) 인조의 3년상이 지나고 나서 인열왕후의 신위는 인조와 함께 종묘에 합제(合祭)되었으므로 건물은 철거되었다. 창경궁내의 어느 곳에 세워졌으며 건물규모가 어떠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이 건물은 다른 많은 혼전들과 달리 역사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그 까닭은 병자호란으로 인조의 맏아들이며 한씨 소생인 소현세자(昭顯世子)가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 있는 동안 모후를 그리워하여 그의 관소(館所)에서 숙녕전을 향하여 망곡(望哭)의 예를 행하였다는 『심양일기(瀋陽日記)』의 기록이 전하여지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
『심양일기(瀋陽日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