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박씨소원록 ()

목차
관련 정보
신라박씨소원록
신라박씨소원록
가족
문헌
조선후기 학자 박세욱이 신라 박씨의 내력을 정리하여 1760년에 편집한 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박세욱이 신라 박씨의 내력을 정리하여 1760년에 편집한 전기.
내용

2권 2책. 목활자본. 조선 후기의 학자 박세욱(朴世旭)이 1760년(영조 36)에 편집, 1768년에 박주구(朴周龜) 등이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박치화(朴致和)의 서문과 박성구(朴成矩)·박세욱의 발문이 있고, 제2권 머리에 소원록(溯源錄) 간판서(刊板序)가 있다.

책머리에 능전도(陵殿圖)가 있고 서문과 권후발이 있으며, 신라연보(新羅年譜)·오릉변론(五陵辨論)·금척론(金尺論)·시조왕기(始祖王記)·팔대군분봉(八大君分封)·입비상서(立碑上書)·개왕자상서(改王字上書)·청비문장(請碑文狀)·시조왕릉비명(始祖王陵碑銘)·참봉보장(參奉報狀)·팔대군분파록(八大君分派錄)·대제축문식(大祭祝文式)·본전절목(本殿節目)·입비사실(立碑事實)·영이사적(靈異事蹟)·상언명첩(上言名帖)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하에는, 간판서·참봉상언(參奉上言)·비음기(碑陰記)·비각기(碑閣記)·개왕호축문(改王號祝文)·나정비문(蘿井碑文)·충렬공사적도(忠烈公事蹟圖)·신모사기(神母祠記)·옥적기적(玉笛記蹟)·월성기(月城記)·선도산기(仙桃山記)·능수벌극기(陵藪伐棘記)·남암고적(南庵古蹟)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신라연보>는 서기전 57년 시조왕 1년부터 935년 경순왕의 말년까지의 역대 기사를 ≪삼국승람 三國勝覽≫·≪동경기 東京記≫·≪양촌집 陽村集≫ 등의 기록에 근거하여 편년체로 기록하고 있다. <오릉변>에는 시조왕이 죽은 지 7일만에 5체(五體)가 흩어져 있어 장사를 지내려고 하니 뱀이 방해하여 다섯 곳으로 나누어 장사를 지냈기 때문에 오릉(五陵) 또는 사릉(蛇陵)이라고 한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또, 일설에는 남해·유리·파사 세 왕을 차례로 장사지내고 여러 신하들을 순장했기 때문에 오릉이라고도 하며, 또한 왕이 죽은 지 7일만에 왕비가 죽어 뱀의 방해로 왕과 왕비를 각장하고 세 왕을 차례로 장사지냈다는 설도 소개하고 있다.

<충렬공사적도>에는 충렬공 박제상(朴堤上)이 삽량주간(歃良州干)으로 있을 당시 실성왕이 내물왕의 아들 미사흔(未斯欣)은 왜국으로, 형 복호(卜好)는 고구려로 각각 볼모로 보냈는데 그가 자청하여 고구려에 가서 복호를 데려오고 뒤이어 왜국에 가서 미사흔을 탈출하게 하고 일본에 체류했다가 그 일이 발각되어 모진 형벌을 받고 나무궤 속에서 불에 타 죽었다는 기록과 함께 <충렬공잠환미사흔도 忠烈公潛還未斯欣圖>, 그리고 그의 부인이 기다리다 지쳐 망부석이 되었다는 치술령(鵄述嶺)의 <산천도 山川圖>가 실려 있다.

그 밖에 목차에서 보이듯이 박씨의 내력을 살필 수 있는 사실들이 기록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