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만엽 ()

목차
국악
인물
조선후기 8명창 중 한 사람으로 석화제에 능했던 판소리의 명창.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전라북도 여산군(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8명창 중 한 사람으로 석화제에 능했던 판소리의 명창.
내용

순조 때 전라북도 여산군(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에서 태어나 고창에서 살았다. 송흥록(宋興祿)의 후배이고 김제철(金齊哲) · 박유전(朴裕全) 등과는 동배라고 한다.

그는 석화제라 하여 경쾌한 소리제에 장기가 있었으며 이를 잘하였기 때문에 ‘사풍세우 신만엽(斜風細雨申萬葉)’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특히 「수궁가」에 능하였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토끼가 세상에 나오는 대목’을 잘하였다.

중중모리장단에 “석화제로 가자 어서가.”로 시작하는 ‘소지노화(笑指蘆花)’라는 대목은 경쾌하고 화창한 석화제로 되어 가야금병창으로 많이 부르고 있다.

「수궁가」에서 토끼화상 대목에 나오는 특이한 성음들은 그의 더늠이라 한다. 그의 판소리가 화창하고 경쾌하기 때문에 신재효(申在孝)는 그의 「광대가」에서 “신선달(申先達) 만엽(萬葉)이는 구천은하(九天銀河) 명월백로(明月白露), 맑은 기운 취과양주(醉過楊州) 두목지(杜牧之)”라고 하였다.

이는 그 소리가 구천은하에서 떨어지는 백로와 같이 경쾌하고 화창하였음을 이른 것이다. 풍채좋고 정감적인 시를 많이 쓴 두목에 비긴 것도 신만엽의 이러한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판소리소사』(박황, 신구문화사, 1974)
『조선창극사』(정노식, 조선일보사출판부, 1940)
「판소리 팔명창음악론」(이보형, 『문화재』8, 문화재관리국,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