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3책. 서울대학교와 장서각도서 등에 서문과 발문 그리고 간기가 결여된 목판본 『박통사신석언해』가 소장되어 있는데, 『통문관지』의 『신석박통사언해』와 동일한 책으로 보인다.
『통문관지』 권8 집물조(什物條)에 의하면, 1765년(영조 41) 김창조(金昌祚) 등이 수정한 ‘신석박통사판’과 ‘언해판’을 기영(箕營), 곧 평양에서 간판(刊板)하였다. 서울대학교 소장본이 1985년에 홍문각(弘文閣)에서 영인 · 출판되었다.
『박통사신석언해』에 수록된 한어문(漢語文)은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에 수록된 한어문과 상당히 다르다.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의 한어문은 동일하다.
한어문의 각 한자 아래 한글로 붙여진 두가지 중국음 중 우측음, 즉 통칭 속음(俗音)은 18세기 북경지방 중국어음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서정음』 · 『중간노걸대언해』 등 18세기에 간행된 다른 한학서들과 함께 당시 북경어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좌측음, 즉 통칭 정음(正音)은 대체로 『홍무정운역훈』과 『사성통해』의 ‘정음’과 일치하고, ‘속음’과 같은 예도 간혹 눈에 띈다. 16∼17세기에 간행된 각종 한학서에 표시된 좌측음들이 『홍무정운역훈』의 ‘속음’인 데 반하여, 『박통사신석언해』를 비롯한 18세기 간행서들의 좌측음은 대체로 ‘정음’이다. 특징적인 세 가지 한자의 좌우측음 표기상황을 시대별로 비교해보면 〈표〉와 같다.
시대별 \ 구분 | 표기예 | 출전 | ||
---|---|---|---|---|
생(生) | 시(時) | 삼(三) | ||
16세기(정음/속음) | 싀ᇰ/숭 | 씨/씨ᇫ | 삼/산 | 사성통해 |
16·17세기(좌측음/우측음) | 숭/ᄉᆞᆼ | 쓰ᇫ/스 | 산/산 | 번역노결대 번역박통사 노결대언해 박통사언해 |
18세기(좌측음/우측음) | 싀ᇰ/숭 | 씨ᇫ/스 | 삼/산 | 경서정음 박통사신석언해 중간노결대언해 |
〈표〉 시대별 좌 · 우측음 표기 비교 | ||||
*주 : 사성통해 변역노걸대 번역박통사 등 16세기 간행서에는 방점으로 성조가 표시되었으나 여기서는 제외되었다. |
언해문은 『박통사언해』에서보다 중국어를 직역한 곳이 많고, 보다 많은 한자어를 사용하였다.
한글표기법은 18세기 자료의 특성을 대체로 반영한다. 어말자음(語末子音) ㄷ과 ㅅ이 ㅅ으로 통일되었고, 초성의 ㅼ, ㅆ 등이 ㅳ, ㅄ 등과 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ㄷ의 구개음화현상이 다수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