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까리

아주까리
아주까리
식물
생물
대극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극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내용

피마자(蓖麻子) · 피마주라고도 하며, 학명은 *Ricinus communis L.*이다. 온대지방에서는 한해살이풀이지만 열대지방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온대지방에서는 2∼3m 정도까지 자란다. 줄기는 납질로 덮여 있고 속이 비어 있다. 줄기에는 20개 내외의 마디가 있고, 각 마디에는 긴 잎자루가 있는 잎이 어긋난다.

잎은 7∼11조각으로 갈라진 장상엽(掌狀葉)이다. 꽃은 암수로 나누어진 단성화로 수꽃은 꽃 이삭의 아래쪽에 암꽃은 위쪽에 붙어 있으며, 모두 꽃부리가 없다. 씨방이 발달하여 꼬투리를 맺으며 꼬투리마다 3개의 열매가 들어 있다. 열매는 편평한 타원형으로서 특유의 무늬가 있다.

종자는 42∼56%의 유분(油分)을 포함하고 있으며, 아주까리기름은 옥소가(沃素價)가 82∼90 정도의 불건성유(不乾性油)에 속한다. 아주까리기름은 91∼95%의 리시놀산(ricinoleic acid)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산지는 동아프리카 내지는 인도로 추정되며 남아메리카주와 아시아가 세계 총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아주까리는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 약용 용도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우리나라에서의 생산 및 이용은 15세기에 이미 확립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일부에서는 북아메리카로부터 선교사에 의하여 도입되었다고도 한다.

생태

아주까리의 생육적온은 평균기온 20℃ 내외이지만 여름작물로 생육기간이 길지 않으므로 재배적응 지역이 넓다. 우리 나라에서는 남부지방이 더욱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4월 중 · 하순에서 5월 중순경에 10a당 2·3ℓ를 파종하고 단작인 경우에는 60×60㎝의 재식밀도로 주당 3, 4립을 심는다.

토양은 별로 가리지 아니하나 배수가 잘되고 석회성분이 많은 사양토 또는 양토가 가장 적합하다. 품종분류는 열매의 크기에 따라 대립종 · 소립종, 줄기의 빛깔에 따라 적경종(赤莖種) · 녹경종(綠莖種), 생산지에 따라 한국 · 자유중국 · 이탈리아 · 미국종 등으로 분류한다.

효능 및 기능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해마다 줄어들어 1961년에는 5,147㏊에 2,255t이었는데 1983년에는 49㏊에 42t에 지나지 않았다. 종자는 설사 · 소종(消腫) · 발독(拔毒)의 효능이 있어 약용한다. 약성은 평(平)하고 신감(辛甘)하며 유독하다. 주로 변비를 비롯한 수종창만(水腫脹滿) · 옹종(癰腫) · 개창(疥瘡) · 임파선종(淋巴腺腫)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기름은 등화용, 고급비누재료, 화장원료, 공업염료의 용매, 인주용 등으로 일상생활용품 생산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유박은 리신(ricin)이라는 유독성 단백질이 있어서 주로 퇴비로 이용한다. 아주까리 잎은 아주까리 누에의 사육에 이용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신고작물학개요』(조재영, 향문사, 1989)
『한국식경대전』(이성우, 향문사, 1981)
『고려이전한국식생활사연구』(이성우, 향문사, 197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