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중사(伯仲寺)라고도 부르는데, 백제시대 때 창건되었다고도 하므로 백제절이라는 뜻으로 백중사라 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그렇다면 한산시대(漢山時代) 최초의 절로 추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1987년 4월 19일부터 5월 30일까지동국대학교 발굴조사단이 실시한 바위절터 발굴 때 수습한 유구와 유물은 대부분 신라 말 고려 초의 것으로 그 이전 백제까지 올라가는 작품은 드물어 앞으로 전면 발굴에 의하지 않으면 현재로서는 백제절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신라 말 고려 초 이전의 유물층 위에 신라 말 고려 초의 건물이 세워졌고, 이 당시의 암막새·수막새 기와들이 대량 출토되었으므로 적어도 신라 말 고려 초에는 바위절이 중건되었을 것이다.
이 층위 지표면에서는 옛날식 주춧돌(신라 내지 고려 초기)에 놓여진 정면 4칸, 측면 2칸의 건물유구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옛 주춧돌을 이용한 조선시대의 건물로 추정된다.
이 건물유구는 금당지로 추정되며, 이 건물 앞에서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석탑옥개석 2점이 확인되었는데 금당 앞에 놓았던 탑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사찰은 격식을 갖춘 아담한 사찰로 추정된다.
이 사찰에 대한 기록은 《동국여지승람》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백중사는 일명 암사(巖寺)이며 하진참 동쪽에 있다. 서거정(徐居正)의 시에, 절(招提)은 푸른 벼랑에 걸쳐 있으니 어느 날인가 황금을 펴고 지었는가. 낙엽을 쓰는 사람이 없지만 빈집에는 오는 손님이 있네. 산 형세는 물에 다다라 끊어졌고 물굽이는 잔에 부딪혀 돌아 흐르네. 고승(高僧)과 같이 말을 주고받으니 마음은 스스로 티끌이 없어지네.”
이러한 내용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는 경승지 사찰로 이름이 나 있었던 서울근교의 명찰이었음도 분명하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이 부근에 서원을 세움으로써 사찰은 크게 축소된 채로 조선 말기까지 유지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규모는 현재 중부고속도로 진입로와 암사동 수원지 취수장의 건설 때문에 크게 훼손되어 잘 알 수 없지만, 현 발굴지와 절벽 밑 취수장 진입로 등에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고속도로 진입로와 취수장 일대에도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절경의 아담한 사찰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사찰 내지 신라 말 고려 초 때 중건된 옛절로서 서울근교의 명찰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바위절의 역사적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