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촌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야촌문집
야촌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손만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손만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774년(영조 50) 증손 익현(益顯)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상정(李象靖)의 서문, 권말에 정종로(鄭宗魯)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53수, 권2에 만사 98수, 소(疏) 2편, 계(啓) 4편, 장(狀) 3편, 권3에 서(書) 28편, 잡저 4편, 서(序) 2편, 기(記)·상량문 각 1편, 축문 4편, 제문 19편, 애사·묘갈명·묘지명 각 1편, 묘표 4편, 권4에 연행일록(燕行日錄), 권5·6은 부록으로 연보·행장·행장후서(行狀後敍)·신도비명·묘지명·묘갈명·사제문(賜祭文)·사림제문(士林祭文)·만사·봉안문·상량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역정봉황정만(驛亭逢黃挺萬)」·「산해관알공자묘(山海關謁孔子廟)」·「근차어주삼다자운(謹次漁洲三多字韻)」 등이 있으며, 다른 사람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이 많다.

상소 가운데 「진민폐소(陳民弊疏)」는 저자가 공주목사로 재임할 때 그 지역의 각종 폐단을 진정한 것이다. 조세의 징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노비의 신공(身貢) 징수 문제 등을 서술하고 있어 당시의 사회 정책 및 민중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계(啓)에는 부세(賦稅) 징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족(隣族)의 폐단을 지적한 것, 둔전(屯田)의 혁파를 주장한 것 등이 있다. 장(狀)은 주로 지방 관직을 사임하는 내용이다.

서(書)는 대개 짤막한 글로 되어 있는데, 이재관(李在寬)·이주명(李周命) 등과 예에 대해 논의한 것이 많다.

잡저에는 청주 지방에 고마청(雇馬廳: 관원에게 백성으로부터 징발한 말을 내주는 일을 맡은 곳)을 신설하게 된 배경을 기록한 글, 자손을 경계하기 위해 지은 글 등이 있다.

「연행일록」은 1677년(숙종 3) 저자가 동지사 서장관이 되어 중국을 왕복하는 동안 보고 느낀 것과 중국의 기후·풍토·산물·행사 등에 관해 적은 기행문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