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 신화리 금동 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조각
유물
문화재
삼국시대의 불상.
이칭
이칭
양평 금동여래입상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보(1976년 12월 14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목차
정의
삼국시대의 불상.
내용

1976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0㎝.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76년 4월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신화리에서 경지 정리를 하던 중 우연히 발견된 불상이다. 발견 장소는 예전부터 신라·고려시대의 기와 조각이 많이 발견되어 왔던 곳이다. 그리고 장대석·석조유구도 찾아볼 수 있어 삼국시대 이래의 폐사지로 추측된다.

이 불상의 모습은 두광과 대좌를 상실한 채 당당한 자세로 서 있다. 두 손 역시 소실되었으나 여원인(與願印)과 시무외인(施無畏印)의 수인을 취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의 보존 상태는 매우 좋아 도금이 거의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

머리에는 나발(螺髮)이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대체로 긴 편으로 약간의 미소를 띠고 있다. 목은 매우 길고 굵으며 삼도(三道)의 표현이 생략되었다. 전체적으로 보아 목을 뒤로 젖히고 얼굴을 높이 들어 머리가 우뚝 솟아 있는 느낌을 준다. 불상의 몸체는 어깨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완만하고 단순한 형태를 유지하여 전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듯한 원통형의 모습을 보여준다.

통견(通肩)의 법의는 가슴과 배를 많이 드러내면서 U자형의 주름을 이루며, 그 가장자리는 굵고 도드라지게 처리되어 있다. 드러난 가슴에는 세 가닥의 선이 음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는 대의(大衣) 속에 대각선으로 걸친 내의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다리 위로 드리워진 몇 개의 U자형 옷 주름은 약간의 부조와 음각선으로 처리되었다. 팔에도 또한 몇 개의 주름이 음각으로 표현되었다. 대의 밑에 보이는 군의(裙衣)의 옷자락은 몇 줄로 겹쳐져서 굵은 곡선을 그리며 늘어진다. 주름진 형태가 특이하며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조형감을 준다.

의의와 평가

이 불상의 양식은 약간 딱딱하면서도 묵직하고 단순한 원통형의 몸, 간결한 U자형의 주름 등으로 미루어 보아 중국의 북제(北齊)·북주(北周)에서 수(隋)대에 걸친 불상 조각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출토 지역의 특정상 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유력하다.

이 불상은 황규동 소장의 금동보살입상보다는 훨씬 진보된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강원도 횡성 출토의 금동여래입상(국립중앙박물관 소장)에서 보이는 부드러운 조형성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당당한 자세와 단순화된 조각 수법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삼국시대불상조각』(국립중앙박물관, 1990)
『국보』2 금동불·마애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4)
『문화재대관』국보편(문화재관리국, 1977)
「찬란한 삼국시대의 불상들: 양평·선산에서 새로 발견된 네가지 예」(강인구, 『공간』 111, 197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리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