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하리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여주 하리 삼층석탑 정측면
여주 하리 삼층석탑 정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경기도 여주시에 있는 고려시대 일반형 3층 석조 불탑. 석탑. 보물.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여주시 상동 132
목차
정의
경기도 여주시에 있는 고려시대 일반형 3층 석조 불탑. 석탑. 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7m. 본래 하리의 옛 절터에 서 있었던 것을 1957년 11월에 한강변에 있는 영월루(迎月樓) 밑의 공원 산중턱으로 옮겨 세워 바로 옆의 여주 창리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과 나란히 있다.

석탑의 구성은 신라 이래의 전형적인 일반형 양식을 계승하여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은 방형탑이다. 하층 기단의 구조는 일반적인 형식에 속하는 것으로서 갑석(甲石)은 상면에 현저한 경사를 이루었고 그 중심에 상층 기단 면석을 받기 위한 높직한 2단의 몰딩(moulding: 테두리장식)이 있다.

상층 기단 면석은 4매판석으로 구성하였는데, 2면에는 우주(隅柱: 모서리기둥)를 측면에까지 모각(模刻)하였고, 다른 2면에는 평판석을 그 사이에 삽입하는 구성형식을 취하였다. 갑석은 평박한 편이고 밑에는 얕은 부연(副椽: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그리고 상면 중앙에는 역시 높은 2단의 몰딩이 있다.

탑신부는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이 각각 1석이다. 각 층 옥신에는 우주형이 얕게 모각되었으며 초층 옥신은 특히 높은 편이다. 옥개석 각 층 받침은 4단이고 추녀 밑은 직선을 이루다가 귀퉁이에 이르러 상향(上向)하였다.

낙수면의 경사는 온화하며 전각(轉角)의 반전(反轉)은 약하다. 옥개석 정상에는 굄 1단이 있어 위층의 옥신을 받치고 있다. 상륜부는 전부 결실되어 하나도 남은 것이 없다.

이 탑을 옮겨 세울 당시 특이한 사리공(舍利孔)이 발견되었는데, 일반형 석탑의 사리공과는 정반대로 초층 옥신 상면 중앙에 18.8㎝×21.2㎝의 얕은 층단 위에 10.6㎝×13.6㎝, 높이 3㎝의 돌기가 있어 마치 대(臺)와 같은 형태를 만들고 그 안에 지름 3㎝와 1.5㎝의 2개의 둥근 구멍이 있었다고 한다. 내용물은 하나도 남은 것이 없어 이 둥근 구멍이 무슨 용도였는지 알 수 없다.

또, 이 위에 얹히는 옥개석 밑면에는 1변 25.8㎝, 높이 12㎝의 단면능형(斷面菱形)의 홈이 팬 부분이 있어 사리공 돌기부 상면에서 9㎝에 가까운 공간을 남기면서 덮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리공의 구조는 특이한 예로서 매우 주목되고 있다.

이 탑은 외형의 온아한 비율이나 각 부 구조의 규율성 등으로 보아 고려 중기를 전후한 시기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탑이 속했던 사찰은 여주시내의 평지에 창건되었던 사찰이나, 그 절 이름은 알 수 없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보물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집필자
정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