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이십사도총해 ()

목차
관련 정보
역학이십사도총해
역학이십사도총해
과학기술
문헌
조선후기 학자 김석문이 서목 ·24도 · 총해로 구성하여 1697년에 저술한 역학서.
이칭
이칭
역학도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김석문이 서목 ·24도 · 총해로 구성하여 1697년에 저술한 역학서.
내용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그의 고향이었던 경기도『포천읍지』에 의하면, 그의 나이 40세 때 완성되었는데, 그림이 44엽(葉), 해(解)가 127,200여자로 되었으나, 그가 강원도 통천군수로 있을 때에 고향친구가 북한산의 각승(刻僧) 2인을 데리고 와서 이 책의 판각을 완성하였다. 이때가 그의 나이 69세이며 책이 완성된 지 29년 후의 일이다.

이 책의 구성은 서목(序目), 24도, 총해(總解)로 되어 있는데, 24도 중에서 제2도와 제10도가 각각 2장씩 있어서 모두 26엽이고, 서목 1장과 총해가 15장을 합하여 모두 14,500여자로 되어 있다.

이 책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지구와 일(日)·월(月)·5성(星)의 상대적인 크기가 제시되어 있고, 그 궤도운동변이 제시되어 있으며, 브라헤(Brahe,T.)의 지구중심우주체계를 설명하면서도 지구가 하루에 1회전한다는 이른바 지전설(地轉說)을 제시한 점이다.

이 김석문의 우주체계는 삼대환공부설(三大丸空浮說)로 널리 유포되었으며, 그의 저서 가운데 “천체가 지구 둘레를 도는 것이 아니고, 지구가 회전함으로써 낮과 밤의 하루가 이루어진다. 그것은 마치 배를 타고 산과 언덕을 바라보되, 산과 언덕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배가 움직이고 있음을 깨닫지 못하는 것과 같다.”고 말하고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조선학자의 지전설 중 가장 체계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지전설의 독창성여부에 대하여는 근래에 논란이 많았다.

참고문헌

『한국과학기술사(韓國科學技術史)』(전상운, 탐구당, 1979)
「십칠세기(十七世紀) 이조학인(李朝學人)의 지동설(地動說) -김석문(金錫文)의 역학이십사도총해(易學二十四圖總解)-」(민영규, 『동방학지』16,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