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6m. 평면 팔각원당(八角圓堂)의 기본형으로 8각의 지대석(地臺石) 윗면에는 낮은 몰딩 (moulding)이 있어 하대석(下臺石)을 받고 있다. 8각으로 된 하대석도 높은 측면에는 아무런 조식(彫飾)이 없으나 상단에는 원에 가까운 곡선을 그린 조각이 있다.
윗면은 중앙에 몰딩이 있고, 그 주위로 홈이 패어 있다. 중대석은 편구형(扁球形)인데 그 상·하에 단판연화(單瓣蓮華)가 대칭으로 돋을새김된 특이한 양식이다. 상대석은 8각으로 단판 8엽의 앙련(仰蓮)이 조각되었고, 아랫면에는 2단의 각형받침이 있으며 윗면에는 높은 호형(弧形)의 굄이 있다.
탑신석(塔身石)도 8각으로 1면에는 문비형(門扉形)을 새겼고 다른 면에는 별개의 돌을 끼운 듯이 보일 정도로 아주 강한 돋을새김의 신장상(神將像)을 1구씩 배치하였는데 조각수법은 세련되지 못하다.
옥개석(屋蓋石) 역시 8각인데 추녀끝은 얇아졌으나 아주 넓은 편이다. 옥개석 아랫면에는 높직한 받침을 중심으로 서까래가 모각되었고 윗면의 낙수면은 급경사를 이루었다. 각 면의 합각(合角)에는 8줄의 우동(隅棟 : 옥개석의 귀마루)이 뚜렷하며 추녀에 이르러 큼직한 귀꽃이 솟아 있다.
상륜부(相輪部)는 완전한 편으로 정상면에는 8엽의 앙련으로 된 앙화(仰花)가 있고 그 위에 편구형의 복발(覆鉢)이 있는데 횡대(橫帶) 위에 꽃무늬가 조각되었다. 다시 그 위에 높직한 보개와 보주가 차례로 놓여 있다.
이 승탑에는 탑신석 1면에 ‘逍遙大師之塔(소요대사지탑)’, ‘順治六年庚寅(순치6년경인)’이라는 2줄의 오목새김명문이 있다. 소요대사는 순치 5년(1649)에 입멸하였는데, 바로 그 다음해에 이 승탑을 세웠음을 알 수 있다.
승탑과 탑비를 별도로 세우지 않고 승탑의 탑신석이나 다른 부재에 글자를 새기는 예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 승탑도 그 예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