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 아문 ( )

목차
관련 정보
연산아문
연산아문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조선후기 연산현 관아의 누정. 문루.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연산아문(連山衙門)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3년 12월 26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논산시 황산벌로 1528-7 (연산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조선후기 연산현 관아의 누정. 문루.
내용

1973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초익공계(初翼工系) 5층 누문. 기둥모양의 초석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워 누마루[扶樓]를 깔았다.

하층은 3문(門)을 달아 통행로로 사용하며, 상층 누마루에는 사면에 계자각(鷄子脚 : 난간의 중간 중간에 세워 돌란대를 받치는 짧은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난간하엽(欄干荷葉)을 올려서 돌림대를 받쳤고 난간 하부를 청판으로 막았다.

쇠서[牛舌]의 모습은 전형적인 익공의 모습을 따르고 있으며, 창방(昌枋) 위에는 소로[小累]를 놓아 도리를 받쳤다. 지붕의 짜임은 앞뒤 기둥 위에 대들보를 걸고 그 상부에 뜬창방[浮昌枋]을 직접 엇갈려 내목도리를 받치게 하였고, 다시 이 뜬창방에 얹은 기둥머리로써 종보[宗樑]를 지탱하도록 하였다.

이 기둥머리 양쪽에는 보아지[樑奉]모양의 부재(部材)를 첨가하였다. 종보 위의 파련대공(波蓮臺工)은 표면에 당초문을 조각하였다. 이 건축물은 조선시대 연산현의 관아를 출입하던 문루였다.

참고문헌

「아문건축(衙門建築)의 양식(樣式)에 관(關)한 연구(硏究) -충청지방(忠淸地方)의 아문(衙門)을 중심(中心)으로-」(박만식·이달훈, 『백제연구』16,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198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강승(국립부여박물관, 고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