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초익공계(初翼工系) 5층 누문. 기둥모양의 초석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워 누마루[扶樓]를 깔았다.
하층은 3문(門)을 달아 통행로로 사용하며, 상층 누마루에는 사면에 계자각(鷄子脚 : 난간의 중간 중간에 세워 돌란대를 받치는 짧은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난간하엽(欄干荷葉)을 올려서 돌림대를 받쳤고 난간 하부를 청판으로 막았다.
쇠서[牛舌]의 모습은 전형적인 익공의 모습을 따르고 있으며, 창방(昌枋) 위에는 소로[小累]를 놓아 도리를 받쳤다. 지붕의 짜임은 앞뒤 기둥 위에 대들보를 걸고 그 상부에 뜬창방[浮昌枋]을 직접 엇갈려 내목도리를 받치게 하였고, 다시 이 뜬창방에 얹은 기둥머리로써 종보[宗樑]를 지탱하도록 하였다.
이 기둥머리 양쪽에는 보아지[樑奉]모양의 부재(部材)를 첨가하였다. 종보 위의 파련대공(波蓮臺工)은 표면에 당초문을 조각하였다. 이 건축물은 조선시대 연산현의 관아를 출입하던 문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