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삼곶리 돌무지무덤 ( 돌무지무덤)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경기도 연천군 중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초기의 돌무지무덤.
이칭
이칭
연천삼곶리적석총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무덤
건립 시기
삼국시대
관련 국가
백제
소재지
경기도 연천군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기념물(1994년 4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연천군 중면 삼곶리 421번지
내용 요약

연천삼곶리돌무지무덤은 경기도 연천군 중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초기의 돌무지무덤이다. 이 무덤은 백제 초기 묘제 변천을 살피고, 한성백제시기 종족 구성을 구명할 수 있는 고고학적 자료이다. 1992년에서 1993년까지 3차에 걸쳐 문화재연구소가 학술 목적으로 발굴 조사하였다.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 · 관리되고 있다.

정의
경기도 연천군 중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초기의 돌무지무덤.
발굴경위 및 결과

연천삼곶리돌무지무덤은 경기도 연천군 중면 삼곶리에 자리해 있다. 무덤은 동에서 서로 흐르는 임진강의 북안에 넓게 펼쳐져 있는 충적 대지상의 모래언덕 위에 조성되어 있다. 주위에서 가장 탁월한 전망을 지닌 곳에 고립되어 있는 입지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1993년 이 주1이 체계적으로 정식 발굴된 이래, 동일 형식의 무덤으로 연천학곡리고인돌, 장학리적석무덤, 정선아우라지유적, 광주곤지암적석총 등이 발굴되었고, 지표 조사와 수습 조사 결과 현재 40여 기의 돌무지무덤이 남한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이들 돌무지무덤의 분포 지역을 보면 임진강 중상류, 한강 하류, 북한강 · 남한강 유역에서만 확인된다. 이러한 분포권은 마한계 무덤으로 인정되는 안성천 · 금강 수계의 도랑움무덤 · 도랑널무덤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이러한 남한 지역 돌무지무덤의 분포권에 착안하여 기본적인 무덤 형식이 고구려 돌무지무덤을 따르고 있는 점을 들어, 그 축조자의 종족적 기반을 고구려계 맥족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나, 『삼국사기』 「백제본기」 초기 기록에 자주 등장하는 말갈(靺鞨), 즉 예계(濊系) 집단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형태와 특징

연천삼곶리돌무지무덤은 백제 지역에서 조사된 돌무지무덤 중 여러널식에서 외널식으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의 양곽식 묘제이다. 무덤의 전체 구조는 동 · 서 두 개의 무덤을 연접시킨 주2으로 되어 있다. 쌍분의 동분과 서분 각각은 구릉 위에 조성된 계단식의 돌더미 부분, 돌더미 부분 북쪽에 딸려 있는 주3 시설, 구릉의 남쪽 경사면을 따라 설치된 무덤 보호시설로 이루어져 있다.

구릉의 크기는 전장 약 38m, 최대 폭 47m, 높이 7.5m이고, 돌더미 부분의 크기는 동서 긴 축 28m, 남북 짧은 축 11m, 남아 있는 높이 1.4m 정도이다. 묘곽(墓槨)의 크기는 대략 2.6m×1.4m 정도이나 정확하지는 않다.

돌더미 부분은 구릉의 윗부분을 수평으로 깎아 편평하게 한 후, 그 위에 길이 50∼60㎝ 정도의 큰 강돌을 깔아서 무덤 기초 부분을 만든 뒤, 그 위에 2∼3단 정도의 사다리꼴 계단식 돌더미를 마련하였다.

돌더미 부분의 중앙에는 장방형의 무덤방 2개가 ‘목(目)’자 모양으로 돌더미 부분의 긴 축 방향과 일치되게 배치되어 있다. 묘곽의 축조는 막쌓기 수법으로 가로쌓기와 세로쌓기를 함께 사용하되, 간혹 묘곽의 벽을 따라 돌을 세워 놓기도 하였다.

깐돌 시설은 편평한 강돌을 한두 겹 깔아서 조성하였다. 남한 지역의 다른 돌무지무덤에서 이와 유사한 시설이 발견되지 않아서 정확한 용도를 알기는 어렵다. 다만 고구려 돌무지무덤의 비슷한 구조를 참고한 무덤의 부속시설인 점으로 미루어 제례 공간으로 추측할 수 있다. 무덤 보호시설은 구릉의 남쪽 경사면을 따라 강돌을 한두 겹 정도 깔아서 마련하였다. 수해로 인해 무덤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이다.

출토 유물은 동서 두 개의 묘곽에서 목걸이 2개체분과 쇠화살촉 2점, 토기 조각 및 부서진 사람의 뼛조각이 출토되었다. 깐돌 시설과 무덤 보호시설에서는 둥근 구슬과 토기 4개체분, 숫돌 조각 등이 수습되었다. 발굴 담당자는 이들 유물 형식에 의거하여 대략 3세기 무렵에 조성된 무덤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의의 및 평가

『삼국사기』 「백제본기」에서는 백제 건국의 주체가 온조 집단으로 대표되는 고구려 유이민이라고 기록하였다. 또 『삼국유사』에서는 춘천 지역을 옛날의 맥국(貊國)이라 하였고, 『삼국사기』 「지리지」에서는 『고금군국지(古今郡國志)』를 인용해 "고구려의 남동쪽 예(濊)의 서쪽이 옛 맥(貊)의 땅인데 지금 신라의 북쪽 춘천이다."라고 밝혔다.

이러한 문헌을 고고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발굴 유적이 연천삼곶리적석총을 비롯한 임진강 · 남한강 · 북한강에만 집중 분포하는 돌무지무덤이다. 한편, 이들 돌무지무덤의 축조 집단을 고구려계 맥족(貊族)으로 보고 『삼국사기』 초기 기사를 읽으면, 「신라본기」와 「백제본기」의 내용이 허구만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논문

김성태, 「임진강유역 적석총 재검토」(『임진강유역, 분단과 평화의 고고학』, 중부고고학회, 2018)
이동희, 「최근 연구성과로 본 한강 · 임진강유역 적석총의 성격」(『한국사학보』 32, 고려사학회, 2008)

기타 자료

『연천삼곶리적석총 발굴조사보고서』(문화재연구소, 1994)
주석
주1

시신 위나 시신을 넣은 석곽(石槨) 위에 흙을 덮지 않고 돌을 쌓아 올린 무덤. 선사 시대부터 고구려ㆍ백제 초기에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2

같은 묏자리에 합장하지 아니하고 나란히 쓴 부부의 두 무덤.    우리말샘

주3

집터 또는 무덤의 바닥이나 둘레에 한두 겹 얇게 깐 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