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엄길리 지석묘군 ( )

목차
관련 정보
영암 엄길리 지석묘군 좌측면
영암 엄길리 지석묘군 좌측면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축조된 18기의 고인돌군. 지석묘군.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영암엄길리지석묘군(靈岩奄吉里支石墓群)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기념물(1986년 02월 07일 지정)
소재지
전남 영암군 서호면 엄길리 320-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축조된 18기의 고인돌군. 지석묘군.
내용

1986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엄길리지석묘군은 서호면보건소와 서호중암교회 옆에 있으며 18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름 6m에 달하는 거대한 고인돌 2기를 중심으로 북서-남동 방향으로 크게 2열을 이루고 있다.

일부 고인돌은 덮개돌 하부가 노출되어 있어서 매장시설을 파악할 수 있는데 덮개돌 아래에 받침돌이 있고 돌널에는 뚜껑돌이 갖추어진 이중개석식에 해당하는 것도 있다. 영암군에는 127개군 1,089기에 달하는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어 전라남도 지역에서도 고인돌의 밀집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며 엄길리지석묘군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참고문헌

『전라남도문화재도록』-도지정문화재편-(전라남도, 1992)
『영암 청룡리·장천리 지석묘군』(최성락, 목포대학교박물관, 1984)
집필자
임영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