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도송산선사유적'은 인천광역시 중구 중산동에 있는 신석기시대 야외 화덕자리 단독 유적이다. 유적은 영종도 송산마을 남쪽 해안의 동서로 길게 뻗은 모래언덕 위에 자리한다. 유적의 층위는 ‘표토층-노란모래층-검은모래층-흰모래층’으로 구분되며, 검은모래층이 신석기시대 문화층(文化層)이다. 이 층에서 신석기시대 야외 화덕자리 21기가 조사되었다.
1990년 인천 지역 선사유적을 조사하던 김석훈(인천과학고)에 의해 처음 발견된 후 서울시립대학교박물관 학술조사단과 합동으로 조사하여 선사시대 유물포함층(遺物包含層)이 확인되었다. 이후 1992년과 1993년 인천시립박물관의 지표 조사를 통해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고, 1995년 서울시립박물관에 의해 정밀 발굴 조사되었다.
'영종도송산선사유적(永宗島松山先史遺蹟)'은 신석기시대에서 고려시대에 걸치는 층위유적으로 주된 문화층은 신석기시대의 층이다. 유적의 층위는 ‘표토층-노란모래층-검은모래층-흰모래층’으로 구분되며, 검은모래층이 신석기시대 문화층이다. 이 층에서 신석기시대 화덕자리 21기가 조사되었다. 화덕자리는 대부분 양상이 유사하다. 주로 바닷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편암계의 각진 암석들을 이용하여 제작한 부석식(敷石式) 화덕자리이다.
다만, 5호 화덕자리만 자갈돌과 모난 돌을 쌓아 만든 위석식으로 주목된다. 규모는 대체로 70x70㎝의 작은 것부터 490x350㎝ 대형의 것까지 다양하다. 화덕자리에서 출토된 숯으로 연대측정(年代測定)한 결과 B.P 5080∼5365년으로 측정되었다. 유물은 빗살무늬토기, 슴베 없는 돌화살촉, 흑요석제 석기, 수정새기개 등 토기 및 토제 가락바퀴, 용도 미상의 토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석기는 흑요석제 밀개 혹은 긁개로 판단된다.
유적 인근에 있는 '용유도남북동유적'에서도 화덕자리만 조사되었다. 분석 결과 식물성 열매 등의 식량 처리와 관련된 유적으로 추정되고 있어 '영종도송산선사유적'도 식량 자원 획득을 위한 반복적인 단기 점유 유적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