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류각 ()

목차
관련 정보
대전 옥류각 정측면
대전 옥류각 정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대전광역시 동구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송준길 등이 건립한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옥류각(玉溜閣)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89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 467
목차
정의
대전광역시 동구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송준길 등이 건립한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인 단층 팔작지붕 건물. 1989년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계곡의 암반과 계류 사이의 바위를 의지하여 서로 다른 높이의 기둥을 세운 다음 마루틀을 짜서 하부구조를 조성한 것이 특이하다.

정면은 계류에 임하였으므로 측면으로 드나들도록 되어 있는데 입구쪽으로부터 2칸은 마루, 나머지 1칸은 방이다. 하부 기둥은 굵은 원기둥이고, 마루 기둥은 가는 사각기둥이며, 마루 둘레에는 난간을 둘렀다. 기둥머리에는 쇠서[牛舌] 모양의 부재를 끼웠으며, 창방으로 도리를 받고 그 위에 서까래를 얹어 지붕을 짰다.

내부에서 보면 대들보 위에 동자기둥[童子柱]을 세워 마루보[宗樑]을 받치고, 이 위에 다시 사다리꼴 대공(臺工)을 세워 마루도리를 받친 단순한 가구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 건물은 1693년(숙종 19)에 중수한 적이 있으며, 원래 송준길(宋浚吉)과 그 문인들이 인조 때(1623∼1649) 강학(講學)을 위하여 세운 것이다. 건물 왼쪽의 암반에 새겨져 있는 ‘超然物外(초연물외)’라는 각자(刻字)는 송준길의 글씨라고 전하여진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충청남도, 1985)
집필자
이강승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