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유고 ()

목차
관련 정보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문인 박성한의 시(詩) · 제문(祭文) · 서(書) · 잡저(雜著) 등을 수록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918년경
저자
박성한
편저자
박성한
권책수
2권 2책
판본
필사본
표제
옥천공유고(沃川公遺稿)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내용 요약

『옥천유고(沃川遺稿)』는 조선시대 문인 박성한의 시(詩)·제문(祭文)·서(書)·잡저(雜著) 등을 수록한 시문집이다.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 편자 및 연기를 알 수 없으나, 1918년경에 후손이 필사하여 보관해 온 것으로 보인다. 상·하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 175수를 비롯해 제문 9편, 서(書) 4편, 서(序)·발(跋) 각 2편, 잡저 6편 등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키워드
정의
조선시대 문인 박성한의 시(詩) · 제문(祭文) · 서(書) · 잡저(雜著)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사항

2권 2책의 필사본으로 상(上) · 하(下)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권의 권수에는 해당 권에 수록된 작품의 제목을 문체별로 분류하여 기재한 목록이 수록되어 있다.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 편자 및 연기(年紀)를 알 수 없으나 하권의 권말에 '숭정 5년 무오 복월 강정 근서(崇禎五戊午復月江亭謹書)'라는 지어(識語)로 미루어 볼 때 1918년 경에 후손이 필사하여 보관해 온 것으로 보인다.

구성과 내용

권1은 시 175수(首), 권2는 제문 9편, 서(書) 4편, 서(序) · 발(跋) 각 2편, 잡저 6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여러 지방을 다니면서 백마강 · 고란사 등 각처의 아름다운 주2를 노래한 것과 자신의 내면을 서정적으로 묘사한 작품이 많다. 그 밖에 이관주, 임정 등을 위하여 지은 주3를 포함하여 다양한 제재(題材)의 시들이 고루 실려 있다. 10대조인 청하부군(淸河府君)과 장인 등의 제문과 고을살이를 하면서 지은 기우제문도 몇 편이 수록되었다.

서(書) 가운데에 「상순상이공세재서(上巡相李公世載書)」는 지방관으로 있을 때에 암행어사 이세재에게 고을 창고 철거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밝힌 내용이다. 경상북도 의흥 · 군위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함께 당시의 지방 행정의 여러 면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어 참고 자료가 된다.

서(序) 가운데에 「추지서(追志序)」는 장편의 글로, 평생을 돌아보는 내용이다. 박성한의 평생 동안의 신고(辛苦)와 가족들에 대한 여러 내용을 담았다. 「전귀옥급서(全歸玉笈序)」는 양생(養生)에 관계된 의약서들을 채록하여 엮은 『전귀옥급』의 서문으로, 양생에 대한 깊은 관심을 잘 보여주고 있다. 「경양지후발(景陽志後跋)」은 당시 경양역의 속역(屬驛)에 대한 개괄적인 상황이 고마청(雇馬廳)의 폐단과 함께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당시 역의 운영 방법과 실태 연구에 좋은 참고가 된다.

잡저 중에는 상제에 관하여 조목별로 나누어 기술한 「상제정훈(喪祭定訓)」과 여기저기서 들은 미담 일화를 기록한 「기문(記聞)」 등이 있다. 「의한시암사전(擬韓是庵史傳)」은 숙종 때의 명신이자 소론의 거두였던 한태동의 전기이다.

참고문헌

원전

『옥천공유고(沃川公遺稿)』(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주석
주1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2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우리말샘

주3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시.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