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어유해 ()

목차
언어·문자
문헌
18세기 후반에 간행된 일본어 어휘집. 일본어어휘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세기 후반에 간행된 일본어 어휘집. 일본어어휘집.
내용

2권 2책. 목판본. 홍순명(洪舜明)이 일본인 아메노모리(雨森芳洲)에게 물어 장어(長語) 및 유해 등의 책을 지었다(通文館志 卷7 人物)는 기록을 근거로 하여, 저자를 홍순명, 그 성립시기를 18세기 초기로 보기도 하나, 단정짓기는 어렵다.

이 책에는 간기(刊記)가 붙어 있지 않으나 하권 끝장에 수정관 한정수(韓廷脩), 서사관 민정운(閔鼎運)·정낙승(丁樂升)·피문회(皮文會) 등 역관의 이름이 밝혀져 있다.

이들의 역과 합격연대를 보면 정낙승과 피문회가 가장 나중인데, 그것이 1783년(정조 7)이므로 간행시기는 우선 1783년 이후가 될 수밖에 없다. 한편, 이 책은 이의봉(李義鳳)의 『고금석림(古今釋林)』 가운데 들어 있는 「삼학역어(三學譯語)」에 인용된 바 있으므로, 간행시기는 1789년 이전임을 알 수 있다.

과거에는 가나자와(金澤庄三郎) 구장본(舊藏本)이 유일본처럼 알려져왔으나,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또 하나의 선본(善本)이 확인됨으로써, 가나자와본보다 훨씬 나은 이본(異本)이 국내에 전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본을 기준으로 할 때 상권은 목록 1장, 본문 56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권은 목록 1장, 본문 54장 이외 부록인 구결(口訣) 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 또 한장의 앞면에는 수정관 1인, 서사관 3인, 감인관(監印官) 1인의 이름이 밝혀져 있는데, 가나자와본에는 하권의 구결 2장 바로 다음에 이로하간음(伊呂波間音) 1장이 추가되어 있어, 국립중앙도서관본과 차이를 보인다.

이 책을 남본(藍本 : 원본)으로 하여 메더스트(Medhurst, W.H.)는 『중·한·일어 비교어휘번역(朝鮮偉國字彙, Translation of a Comparative Vocabulary of the Chinese, Corean and Japanese Languages)』(Batavia, 1835)을, 가나자와는 『일어유해(日語類解)』(東京 三省堂, 1912)를 각기 펴낸 바 있다.

참고문헌

「왜어유해해설(倭語類解解說)」(정광, 『제본집성왜어유해』, 태학사, 1988)
『朝鮮資料와 中世國語』(安田章, 東京 笠間書店, 1980)
『朝鮮資料에 의한 日本語 硏究』(濱田敦, 東京 岩波書店, 1970)
「倭語類解解說」(濱田敦, 京都大學文學部編, 『倭語類解 影印本』 所收, 195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