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강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용강문집 / 의례문답
용강문집 / 의례문답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황수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황수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775년(영조 51) 무렵 외손 남용섭(南龍燮)이 편집하고, 후손 진실(晉宲)·재주(載疇)·상현(相鉉) 등이 1889년(고종 26)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범조(丁範祖)·이상정(李象靖)의 서문, 권말에 권연하(權璉夏)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27수, 서(書) 19편, 잡저 1편, 서(序) 2편, 제문 7편, 묘비음기(墓碑陰記) 1편, 권2·3에 의례문답(疑禮問答), 권4에 부록으로 가장·행장·애사·만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남인 학자인 이현일(李玄逸)·권두인(權斗寅) 등의 죽음을 애도하여 지은 만시가 많다. 서(書)는 이현일·정시한(丁時翰) 등과 성리학을 논의한 내용이 많다.

잡저는 「구담어록(龜潭語錄)」으로, 저자가 스승 정시한과 구담에서 사단칠정(四端七情)·인심도심(人心道心) 등 성리학에 관하여 문답한 내용을 기록해놓은 것이다.

「의례문답」은 송나라와 우리나라 학자들의 예설을 널리 수집하여 그 뜻을 문답형식으로 상세하게 해석한 의례해설서이다. 이 글은 주로 이현일·정시한 등과의 토론을 거쳐 얻은 학문적 성과를 토대로 한 것으로, 복제(服制)·적서(嫡庶)·혼례 등 180여 조목에 이르는 의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예학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는 조선 중기의 사상사, 특히 남인의 예학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