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와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전구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전구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2책. 목활자본. 1916년 방후손 병국(炳國)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이, 권말에 임도삼(任道三)·전서관(田瑞觀)·전병국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73수, 만(挽) 7수, 사(詞) 3편, 부(賦) 1편, 권2에 서(書) 2편, 기(記) 4편, 서(序) 2편, 잡저 5편, 상량문 2편, 제문 4편, 봉안문 2편, 권3에 부록으로 고후(稿後)·제문·만사·가장·기·상량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사경시(寫景詩)나 술회시(述懷詩)가 주조를 이루며, 기교를 부리지 않고 자연에 대한 감응을 직접 표출하였으며, 연작시가 많다. 시율이 격조있고 물경과 정감이 조화를 이루어 당풍(唐風)을 띤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리하여 스승 임유후(任有後)와 당시 시문으로 이름을 날리던 오도일(吳道一)·이명한(李明漢) 등으로부터 인정을 받았다. 운율에 정통했던 그의 재주는 사부(辭賦)에 잘 드러나고 있다.

「탄빈사(歎貧詞)」는 한유(韓愈)의 「송궁문(送窮文)」과 양웅(揚雄)의 「축빈부(逐貧賦)」를 염두에 두고 쓴 것으로, 가난하게 사는 것을 근심하지 않고 그 속에서 도를 즐기려는 삶의 자세를 드러내었다.

「추풍사(秋風辭)」는 죽은 부모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과 비통한 심정을 토로한 것이며, 「천작부(天爵賦)」는 하늘이 부여한 분수를 거역하지 않고 청빈하게 살면서 내 갈 길을 가겠다는 결의를 나타낸 것이다.

잡저 중 「명령설(螟蛉說)」은 친자식이나 양자나 모두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자식을 사람답게 기르는 데 있다는 뜻을 술회하여, 후사(後嗣)가 없는 자신의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는 내용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