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조 ()

목차
국악
개념
판소리와 산조에 사용되는 악조. 호령제 · 시조목.
이칭
이칭
호령제, 시조목
목차
정의
판소리와 산조에 사용되는 악조. 호령제 · 시조목.
내용

판소리 및 산조에서는 가곡이나 풍류와 비슷한 선율에 대한 명칭이 ‘호령제’·‘시조목’ 등 여러 말로 불리다가, 조선 말기에 가곡의 조이름인 우조와 계면조(界面調)를 빌려 쓰면서 가곡·풍류와 비슷한 선율을 우조라 부르고, 육자배기·남도무가(南道巫歌)·시나위와 비슷한 선율을 계면조라 불렀다.

그 뒤에 정가(正歌)에 쓰이는 평조(平調)의 용어를 빌려오면서 판소리와 산조에서 우조는 다시 우조대목과 평조대목으로 구분되었다.

판소리와 산조에서 우조와 평조의 음악적 특징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있다. 흔히 진양대목에서는 처음에 우조대목이 주로 나오고, 이어서 평조대목이 따라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에 반해 중모리와 중중모리에서는 평조대목이 주가 되고, 자진모리에서는 우조대목이 주가 된다.

우조대목의 선율구성은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하면, 솔(당)·라(동)·도(징)·레(땅)·미(지)로 되어 있고, 라(동)와 레(땅)가 중요음 구실을 한다.

우조의 성격이 강할 때에는 ‘레’나 ‘라’로 악절이 종지되나, 끝에는 평조로 넘어가거나 평조와 같이 ‘도’로 마치는 경우가 많다. 레(땅)에서 떠는 목을 쓰는 경우가 있고, 도(징)에서 꺾는 목을 쓰는 경우가 많다.

판소리 및 산조의 우조는 가곡의 우조와 비슷하여 장중하고 꿋꿋한 느낌을 준다. 판소리에서 우조대목은 「춘향가」에서 적성가 첫대목, 신년맞이 대목, 「적벽가」에서 삼고초려 첫대목을 들 수 있다.

가야금산조와 거문고산조에서의 우조대목은 김죽파(金竹坡) 가야금산조 진양 첫대목, 함동정월(咸洞庭月) 가야금산조 진양 첫대목, 신쾌동(申快童) 거문고산조 진양 첫대목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판소리우조(羽調)」(한만영, 『한국음악연구』 2, 한국국악학회, 1972)
「가야금산조의 우조와 계면조」(김정자, 『이혜구박사송수기념음악학논총』, 한국국악학회, 1969)
「가야금산조의 틀에 대한 소고」(이재숙, 『이혜구박사송수기념음악학논총』, 한국국악학회, 1969)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