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송수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충근찬화공신, 정동행성의 도진무, 정당문학 등을 역임한 문신 · 공신.
이칭
시호
문정(文定)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24년(충숙왕 11)
사망 연도
1366년(공민왕 15)
본관
원주(原州)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내서사인겸좌부대언|첨서추밀원사|충근찬화공신|정동행성도진무|정당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충근찬화공신, 정동행성의 도진무, 정당문학 등을 역임한 문신 · 공신.
개설

본관은 원주(原州)이다. 충렬왕 때 중찬(中贊)을 지낸 원부(元傅)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동지밀직사사 원경(元卿)이고, 아버지는 첨의평리(僉議評理) 원선지(元善之)이다. 찬성사 권렴(權廉)의 딸과 혼인해 원서(元序)와 원상(元庠) 두 아들을 두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39년(충숙 복위 8) 정월 국자감시(國子監試)에 합격하고 곧 과거에 급제해 춘추관수찬이 되었다. 1344년(충목왕 즉위년)에는 안진(安震)과 이제현(李齊賢)의 천거로 서연(書筵)에 참여했으며, 얼마 뒤에 헌납(獻納)이 되었다.

1348년(충목 4) 8월 찬성사 정천기(鄭天起)가 헌납 곽충수(郭忠秀)와 함께 고신(告身: 직첩)을 받지 않은 채 곧바로 정방(政房)에 들어가 일을 보고 있다며 탄핵했다가 파직당하였다.

1351년(충정 3)에 서해도안렴사(西海道按廉使)로 나갔으며, 다음 해에 공민왕에게 발탁되어 내서사인 겸 좌부대언(內書舍人兼左副代言)에 올랐다. 이후 왕의 신임을 받아 지주사(知奏事)로 옮기고 전주(銓注)에 참여했는데, 사사로운 정에 흐르지 않고 공정을 기하였다.

1363년(공민 12) 윤3월 홍건적의 난이 평정된 뒤 왕의 파천(播遷)을 호종한 공으로 1등공신에 책봉되었다. 이 해에 이강(李岡)을 천거해 기무(機務)를 관장하는 직임을 대신하게 한 뒤 첨서추밀원사(簽書樞密院事)에 오르고 충근찬화공신(忠勤贊化功臣)의 호를 받았다. 일찍이 아버지의 관직을 이어받아 정동행성(征東行省)의 도진무(都鎭撫)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1365년 3월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올랐으나 곧 신돈(辛旽)의 미움을 받아 6월에 파직되었고, 1366년 6월 신돈이 더욱 권세를 부리자, 이에 근심하고 분해하다 병으로 죽었다. 시호는 문정(文定)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