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목판본. 1895년(고종 32) 증손 필락(弼洛)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65수, 소(疏) 1편, 권2에 서(書) 25편, 잡저 3편, 지(識) 2편, 명(銘) 1편, 고사(告辭) 2편, 권3에 제문 14편, 묘표 3편, 행장 6편, 권4에 유사 4편, 부록으로 만사·제문·행장·묘갈명·유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시체별로 분류되지 않았고, 대체로 저작연대순으로 배열되었다. 만시가 25수나 되고, 차운시도 많다. 서의 문목(問目)에서는 저자가 경전보다 예설(禮說)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잡저의 「사문문견록(師門聞見錄)」은 저자가 유장원(柳長源)의 문하에서 보고 느끼고 배운 것을 적은 것으로, 학문적으로 참고할 만한 내용이 있다.
이현일(李玄逸)·김성탁(金聖鐸)·유범휴(柳範休) 등에 대한 제문에서는 그들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당시 점차 팽창추세를 보이던 실학에 대한 경계심을 나타내어 보였다. 이 밖에 제문·비지류는 거의 종족에 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