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천서당 ()

목차
관련 정보
월천서당
월천서당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있는 조선전기 월천 조목 관련 서당.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월천서당(月川書堂)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당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기념물(1982년 12월 0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도산면 월천길 437-7 (동부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있는 조선전기 월천 조목 관련 서당.
내용

월천(月川)조목(趙穆, 1524∼1606) 선생이 1539년(중종 34)에 건립하여 학문을 닦고 후진을 양성하던 곳으로 현판은 퇴계(退溪)이황(李愰) 선생이 썼다.

조목선생은 퇴계(退溪)선생의 제자로 1552년(명종 7)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여 성균관(成均館)에 들어갔고, 여러 관직을 거쳐 공조참판(工曹參判)에 이르렀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義兵)을 모집하였고, 동생과 두 아들로 더불어 망우당곽재우(郭再祐)와 합세하여 국난극복에 앞장섰으며 후일 퇴계 이황선생을 주향(主享)으로 하는 도산서원(陶山書院)에 배향(配享)되었다.

서당건물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자형 목조 단층 와가로 중앙에는 2칸의 마루를 두고 좌우에 통간방(通間房)을 배치한 홑처마집이다. 1982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퇴계집(退溪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한국유학사(韓國儒學史)』
『월천집(月川集)』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용만(영남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