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목활자본. 1904년 후손에 의하여 중간되었다. 또 다른 판본으로 연대 미상의 4권 2책 필사본이 있다. 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두에 송병선(宋秉璿)·이희익(李熹翼)의 월천집중간서(月川集重刊序), 김종직(金宗直)의 월천집소시서(月川集小詩序), 김신국(金藎國)의 월천집구서(月川集舊序) 등이 있고, 권1 말미에 김윤식(金允植)·김종수(金鍾秀)·김복휴(金復休)·송제우(宋濟愚)의 월천집중간발(月川集重刊跋), 김시번(金始蕃)의 월천집구발(月川集舊跋), 권말에 김익검(金益儉)의 월천집중간발이 있다.
권1에 시 95수, 권2에 기사(記事) 2편, 권3에 부록 상(上)으로 교서(敎書)·좌리공신록(佐理功臣錄)·세종십사년임자문과방(世宗十四年壬子文科榜)·발홍패후(跋紅牌後) 각 1편, 행장·묘지명·묘표·연보, 권4에 부록 하(下)로 부춘원실기(富春院實記)라는 제목 아래에 봉안제문(奉安祭文)·춘추향사축(春秋享祀祝)·부춘원창수기(富春院刱修記)·유허지감(遺墟志感)·유허비문(遺墟碑文)·세계도·보중명현록(譜中名賢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여러 문헌과 객관(客館) 등에 산일되어 있는 시를 6대 손 정화(鼎華)가 찬집한 것으로, 오언절구·오언율시·칠언절구·칠언율시 등이 많다. 그의 시에 대하여 김종직은 청수온려(淸粹溫麗)하다고, 김신국은 충담화평(沖淡和平)하다고 평가하였다.
기사에는 「계유실록(癸酉實錄)」과 「제현유적(諸賢遺蹟)」 2편이 실려 있다. 「계유실록」은 단종의 행적과 이를 둘러싼 역사적 사실을 기술한 것이고, 「제현유적」은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김시습(金時習) 등 사육신과 생육신의 행적과 절의를 기술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