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씨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유씨록전, 유부인전(劉夫人傳), 유씨부인전(劉氏夫人傳), 유씨열녀전(劉氏烈女傳), 유씨열행록(劉氏烈行傳), 윤씨전, 상주유씨전, 이춘매전(李春梅傳), 춘매전(春梅傳), 춘무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유씨전」은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유씨가 유배지에서 병을 얻어 죽은 남편의 시신을 끌어안고 슬퍼하다가 남편을 따라 죽고, 저승의 염라대왕이 유씨의 절개를 가상히 여겨 유씨와 남편을 다시 살려 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유씨 부부가 이승에서 해로하고 부귀영화를 누렸다는 결말을 통해 유씨의 정절을 강조하면서도, 생명을 경시하고 남편을 따라 죽는 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나타나는 작품이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성 및 형식

1책. 국문 필사본(筆寫本).

현재까지 알려진 이본(異本)은 총 28종이다. 필사본만 있으며, 방각본(坊刻本)활자본(活字本)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다양한 이본으로 인해 제명(題名)이 「유씨록전」 · 「유부인전」 · 「유씨부인전」 · 「유씨열녀전」 · 「유씨열행록」 · 「윤씨전」 · 「상주유씨전」 · 「이춘매전」 · 「춘매전」 · 「춘무전」 등으로 다양하다. 이본 가운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있는 「유씨열행록」은 내용이 끝난 뒤에 「 유충렬전(劉忠烈傳)」의 후반부가 이어지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본 간에 필사자 및 필사 연도 등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내용은 별다른 차이가 없다.

내용

광흥에 사는 전 승상의 아들 이춘매는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양씨를 모시고 산다. 이춘매는 15세에 같은 고을에 사는 유여락의 딸 유씨와 혼인한다. 유여락이 돌연 병을 얻어 죽자, 이춘매는 삼년상(三年喪)을 마친 후 상경(上京)하여, 과거에 장원 급제를 하고 한림학사(翰林學士)가 된다. 황제가 이춘매를 극진히 사랑하자, 이춘매는 자신을 시기하는 무리의 참소로 유배를 가게 된다. 유배지에서 이춘매는 이미 먼저 귀양을 와 있던 정양옥과 호형호제(呼兄呼弟)하며 지내다가 노독(路毒)으로 인해 죽는다. 정양옥은 이 사실을 광흥에 있는 이춘배의 부인 유씨와 이춘배의 어머니 양씨에게 알린다. 유씨는 주위의 만류(挽留)를 무릅쓰고 이춘매의 시체를 수습하기 위해 길을 떠난다.

유 씨가 해평읍에 머물던 중, 태수(太守)가 유씨의 미모를 탐하여 유씨를 겁탈(劫奪)하려 한다. 유씨는 태수의 팔을 칼로 내리쳐 간신히 위기를 모면한다. 화가 난 태수는 유씨를 옥에 가둔다. 그러나 천자(天子)가 해평읍으로 보낸 관리가 진상을 파악하고 태수의 목을 벤다. 유씨는 유배지에 이르러 이춘매의 시체를 붙들고 통곡하다가 설움에 겨워 죽게 된다. 죽은 유씨의 혼백은 염라대왕의 앞에 이르러, 여필종부(女必從夫)는 인간 제일의 정절이므로 남편을 따라왔다고 말한다. 염라대왕은 유씨에게, 아직 죽을 때가 아니므로 다른 배필(配匹)을 구해 주겠다며 이승으로 돌아가 살라고 한다. 하지만 유씨는 이를 거절한다. 염라대왕은 유씨의 정절과 의리를 가상히 여겨서 이춘매와 유씨를 다시 이승으로 보낸다.

죽었던 이춘매와 유씨가 깨어나니 주위에서 모두 놀라며 기뻐한다. 유씨는 자기들의 초상(初喪)을 정성껏 치르고 있던 정양옥을 오라버니로 삼는다. 천자는 해평에서 돌아온 관리가 들려준 이야기와 절도첨사의 장계(狀啓)에 감동하여, 이춘매에게는 좌승상(左丞相), 정양옥에게는 우승상(右丞相), 유씨에게는 정숙부인(貞淑夫人)의 직첩(職牒)을 내린다. 이춘매 부부는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100세의 명을 다한 뒤에 한날한시에 죽는다. 그 뒤로도 이춘매과 정양옥의 자손들은 계속 서로 의리를 지켜 가며 형제같이 화목하게 지낸다.

의의 및 평가

「유씨전」은 17세기 이후에 조선 사회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순절(殉節)과 관련한 사실 및 전승되어 오던 순절형 열녀설화(烈女說話)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것이다. 또한 열행(烈行)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남녀 주인공의 선조와 출생, 과업, 종말, 후손이라는 요소를 두루 갖추어 제시하는 일대기적 구성을 보인다.

작품 속에서 유씨는 자기의 죽음을 담보로 과부의 삶에 대해 역설한다. 남편 없이 경제 활동 및 시부모 봉양, 후사 잇기 등 사회가 요구하는 삶을 살아갈 수 없는 과부의 현실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유씨의 열행을 널리 알리고, 그로 인한 사회적 보상 심리로서 재생을 통한 행복한 결말을 그리고 있다. 이를 위해 ‘염라국’이라는 비현실계를 설정하고 있으나, 작품 속에서 ‘염라국’은 오히려 현실적인 속성을 띠면서 현실에서 지켜야 할 규범을 강조하는 공간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

염라대왕에 의한 심판과 보상, 환생 과정을 거쳐 현세적 욕망을 성취하는 부분은 사람은 죽어서 생전에 저지른 선악 행위에 따라 염왕에게서 심판받게 된다는 불교적 우주관을 따른 것이다. 특히 염라대왕과의 만남이라는 비현실적인 결구는 죽음이 아니면 정절을 지킬 수 없는 현실의 모순과 갈등을 더욱 첨예하게 다루기 위한 것으로, 불교적 초월주의(超越主義)에 입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김광순 편, 『한국고소설전집』 46(박이정, 1998)

단행본

정명기, 『한국 고소설의 자료와 유통』(보고사, 2019)

논문

곽정식, 「〈유씨전〉의 현실성과 환상성」(『어문학』 92, 한국어문학회, 2006)
김유란, 「조선후기 한글소설에 나타난 과부와 열행(烈行) 너머의 문제」(『한국어와 문화』 21,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7)
이명현, 「유씨전 연구」(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0)
이재순, 「열녀설화의 소설화 과정에 관한 연구: 〈劉氏傳〉을 중심으로」(『인문학논총』 11,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