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황 ()

팔송봉사
팔송봉사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안변부사, 승지,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덕요(德耀)
팔송(八松)
시호
문정(文正)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1년(선조 4)
사망 연도
1639년(인조 17)
본관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주요 관직
길주목사|안변부사|승지|대사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안변부사, 승지,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덕요(德耀), 호는 팔송(八松). 충청병마절도사 윤선지(尹先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윤돈(尹暾)이다. 아버지는 윤창세(尹昌世)이며, 어머니는 부제학(副提學) 경혼(慶渾)의 딸이다. 윤전(尹烇)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97년(선조 30)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승문원권지정자(承文院權知正字)에 임명되었다. 1599년 주서로 입시한 뒤 군자감첨정 · 성균관전적을 거쳐, 1601년에 감찰이 되었으며 곧 정언으로 옮겼다.

이 때 홍문관은 중요한 부서이므로 은상(恩賞)으로 사사로이 임명할 수 없다는 것과 척신의 직을 파할 것을 주장했으며, 이 후 병조 · 예조의 좌랑, 예조정랑을 거쳐 북청판관으로 나갔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북청판관으로 혼인한 자제를 거느리고 관아에 머물고 있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으며, 광해군의 정치가 문란해지자 시골에 은거하였다.

1626년(인조 4) 사간 · 보덕 등을 역임했으며, 이듬해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주화(主和)를 반대해 이귀(李貴) · 최명길(崔鳴吉) 등 주화론자의 유배를 청하고, 항장(降將)은 참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런데 주화는 항복이라고 했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삭탈관직되어 유배의 명을 받았으나 삼사의 구원으로 화를 면하였다.

이듬해 다시 사간이 되었고 길주목사 · 안변부사 · 사성 · 승지 · 대사성 등을 거쳐 1635년 대사간에 이르렀다. 이 때 전란으로 어려워진 백성의 구급책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으며, 이 후 이조참의를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정묘호란 때와 같이 척화를 주장하였다. 부제학 전식과 집의 채유후가 상소를 올려 정죄함이 불가하다 하니 인조 또한 “부박(浮薄)한 풍습은 통렬히 징계해 다스리지 않을 수 없어 이에 죄를 정한 것”이라 하였다. 영동군에 유배되었다가 병으로 풀려 나와 죽었다.

사람됨이 강의(剛毅)하고 기절(氣節)이 있다는 평을 들었다. 영광의 용계사우(龍溪祠宇), 영동의 초강서원(草江書院), 노성의 노강서원(魯岡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팔송봉사(八松封事)』가 있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송자대전(宋子大全)』
『청음집(淸陰集)』
『용주유고(龍洲遺稿)』
『팔송봉사(八松封事)』
『전고대방(典故大方)』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