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곡서당 ()

목차
관련 정보
은곡서당
은곡서당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조선전기 박진 관련 서당. 교육시설.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은곡서당(隱谷書堂)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당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3년 08월 3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석동길 38 (송천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조선전기 박진 관련 서당. 교육시설.
내용

1973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537년에 박진(朴璡)이 창건한 서당으로서 오랜 동안 황폐해 있던 것을 1645년 사림에 의해 중건되었다.

1822년에 증축하여 수차례 중수하였으나 6·25때 유적은 소실되어 건물의 형체에 부분으로 수리하여 오던 중 안동댐 건설로 수몰되어 안동시 임하면 내앞(川前) 2리에서 1974년에 현위치로 이건하였다.

서당 내의 건물로는 강당과 부속 건물 등이 있다.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一’자형 평면을 이룬 단층 팔작기와집이며, 양쪽에 협실이 딸린 구조이다. 부속건물은 정면 7칸, 측면 3칸의 ‘ㄷ’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박진은 임천(林泉)에 몸을 숨겨 학문을 즐기며 임하면 내앞[川前] 운곡(雲谷)에 서당을 지어 후진을 양성했다. 은곡(隱谷)은 박진의 아호이다.

서당에는 그의 교지 및 서책 등 유물이 보관되어 오던 중 안동댐 건설로 수몰됨으로써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지금은 후손들이 3월 중정일(中丁日)에 한해 한차례 향사를 지내고 있다.

참고문헌

『안동(安東)의 문화재(文化財)』(서수용, 영남사)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