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회 ()

근대사
인물
개항기 삼도수군통제사, 대호군,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관료.
이칭
중곡(中谷)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27년(순조 27)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광주(廣州)
관련 사건
갑오농민전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삼도수군통제사, 대호군,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관료.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호는 중곡(中谷). 이기석(李基碩)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무과 출신으로 1864년(고종 1)부터 1868년까지 선전관(宣傳官)·금위영천총(禁衛營千摠), 승정원의 동부승지·좌부승지, 좌·우승지, 그리고 태안부사를 역임하였다.

1872년 전라우도수군절도사를 역임한 뒤 부사를 거쳐 1881년 초 조선조사일본시찰단(朝鮮朝士日本視察團)에 군계선함사차정참획관(軍械船艦事差定參劃官)으로 참가, 총포·선박 등 주로 육군조련(陸軍操鍊) 관계 분야를 시찰하고 돌아왔다. 이 때 이동인(李東仁)은 참모관이었다.

같은 해 9월 도총부부총관에 발탁되었다가 다시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전보되었다. 같은 해 11월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 개편에 따라 군무사당상경리사(軍務司堂上經理事)에 임명되어, 군무사분국절목(軍務司分局節目)의 결정에 따라 교련국구관(敎鍊局句管)이 되어 근대식 군부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였다.

1882년 4월 황해도병마절도사를 거쳐, 같은 해 10월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다. 1885년 11월과 이듬해 4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승급한 뒤 6월 한성부판윤에 승진하였다. 1887년 영국에 의한 거문도 강점사건이 일어나자 거문도경략사(巨文島經略使)로 임명되어 거문도사건의 처리를 위해 활약하였다.

1889년 대호군에 승급, 이듬해 재차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 1894년 갑오농민전쟁이 일어나자 양호순변사(兩湖巡邊使)가 되어 친군(親軍)의 장위(壯衛)·통위(統衛) 양영병을 인솔해 양호초토사(兩湖招討使) 홍계훈(洪啓薰)과 협력해 전주를 수복하였다.

그 해 갑오개혁으로 개화파 중심의 정부가 수립되자 좌포도대장에 기용되었다. 저서로 『일본육군조전(日本陸軍操典)』 4책이 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일성록(日省錄)』
『동학난기록(東學亂記錄)』
『일동록(日東錄)』
『동경일기(東京日記)』
『종정년표(從政年表)』
『종관일기(從官日記)』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
「1881년조선조사일본시찰단에 관한 일연구」(허동현, 『한국사연구』52, 1986)
「신사유람단고」(정옥자, 『역사학보』27, 196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