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삼목도 선사주거지 ( )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움집터 17기 등이 확인된 서해 도서 지역의 대규모 신석기시대 마을유적.
이칭
이칭
인천 삼목도 III유적
유적
건립 시기
신석기시대
면적
10,548.3㎡
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기념물(2006년 09월 11일 지정)
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1830-1
내용 요약

인천 삼목도 선사주거지는 움집터 17기 등이 확인된 서해 도서 지역의 대규모 신석기시대 마을유적이다. 한반도 중서부 지역 신석기시대 편년과 생활양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2006년 9월 11일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55호로 지정되었다.

정의
움집터 17기 등이 확인된 서해 도서 지역의 대규모 신석기시대 마을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인천 삼목도 선사주거지(仁川 三木島 先史住居址)는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자리한 신석기시대 마을유적이다. 삼목도는 원래 영종도용유도 사이의 작은 섬이었으나, 인천국제공항을 건설하면서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의 바다를 매립하게 됨에 따라 영종도, 용유도, 신불도 등과 함께 하나의 섬으로 합쳐졌다.

인천 삼목도 선사주거지는 원래 삼목도 내 동쪽 구릉 정상에서 해안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비탈면 끝부분에 자리하였다. 그러나 인천국제공항 및 관련시설 조성 과정에서 토취 지역으로 활용됨에 따라 유적 주변은 원래의 형상을 찾아보기 어렵다.

유적 조사는 모두 3차(2003년, 2004년, 2005년)에 걸쳐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이곳은 최소 17기 이상의 움집이 있었던 대규모 신석기시대 마을이었음이 밝혀졌다. 17기의 주1 중 현재까지 조사가 완료된 것은 모두 10기(1~9호, 11호)이며, 나머지 7기는 평면상에서 확인된 상태이다.

형태와 특징

움집터는 크게 소형과 대형으로 구분되며, 모두 4주식 기둥 배치를 기본으로 하고 중앙에 구덩식 주2를 갖추고 있다. 소형 움집터는 한 변의 길이가 3~4m 내외로 평면 형태가 네모꼴인 반면, 대형은 한 변이 4~5m 이상에 평면 형태는 상단 둥근꼴, 하단 네모꼴로 2단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영종도 운서동 및 중산동 유적에서도 확인된다.

유적의 연대는 첫째, 암사동식 구분계 토기와 서해안식 동일계 토기가 동일 움집터에서 함께 출토되고, 둘째, 중기 이후에 등장하는 양단 돌출형 갈돌과 삼각만입형 화살촉 등이 확인되는 점을 고려할 때 서기전 4000년기 후반을 중심으로 하는 신석기시대 중기 단계로 볼 수 있다. 움집터에서 채취된 시료의 주3에서도 서기전 3500~3100년 사이로 측정되어 이를 뒷받침한다.

이 유적을 조사하기 이전의 서해안 신석기시대 유적은 조개더미 또는 주4만 조사되었을 뿐 마을유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섬이라는 특성상 식수 확보 등의 문제로 신석기시대에는 장기 거주보다는 식량 채취를 위해 일시적으로 점유하였던 한정 행위 장소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움집터 17기 이상의 마을유적이 확인됨에 따라 섬에서도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장기간 거주했던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영종도를 비롯한 인근에서 신석기시대 대규모 마을이 확인되었다.

의의 및 평가

인천 삼목도 선사주거지는 서해안 섬에서 확인된 최초의 신석기시대 마을유적으로, 한반도 중서부 지역 신석기시대 편년과 생활양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2006년 9월 11일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55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인천 삼목도 III유적 발굴조사 보고서』(서울대학교박물관, 2009)
『인천 삼목도 III유적 학술발굴조사 보고서』(서울대학교박물관, 2007)

논문

임상택, 양시은, 「인천 삼목도 III 유적」(『한국신석기연구』 11, 한국신석기학회, 2006)
주석
주1

땅에 30~100cm의 깊이로 넓은 구덩이를 파서 만든 집터. 밑면을 방바닥으로 하여 그 위에 지붕을 만든 살림집 형태로, 한반도에서는 신석기 시대 이후 선사 시대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우리말샘

주2

선사 시대의 집터에서 난방과 음식 마련을 위하여 불을 피우던 자리. 가장자리의 바닥에 흙 또는 돌을 두르거나 깔았다.    우리말샘

주3

탄소의 방사성 동위 원소에 의하여 절대 연령이나 연대를 재는 방법. 생물이 죽으면 이산화 탄소의 결합이 끊겨 사체(死體) 속의 탄소 14가 일정한 반감기로 계속 줄어들기 때문에 시료 속의 탄소 14의 양을 근거로 그 생물이 살았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우리말샘

주4

선사 시대의 집터에서 난방과 음식 마련을 위하여 불을 피우던 자리. 가장자리의 바닥에 흙 또는 돌을 두르거나 깔았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