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유도 ()

자연지리
지명
인천광역시 중구 용유동에 속하는 섬.
이칭
이칭
용유도(龍流島)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인천광역시 중구 용유동에 속하는 섬.
개설

인천에서 서쪽으로 24㎞에 있다. 동경 126°∼51′, 북위 37°∼27′에 위치한다. 동쪽에 오성산(五星山, 172m)이 있다. 조차가 커서 연안에 간석지가 크게 나타나며, 썰물 때는 주변의 여러섬들과 연륙이 되었으나 인천국제공항의 건설로 인하여 간석지는 매립되었고 영종도·삼목도와 연결되었다. 용유동의 주도(主島)로, 연도되기 전 면적은 13.6㎢이고 해안선 길이는 48.2㎞이다.

예로부터 ‘용유 8경’으로 이름난 곳으로 왕산낙조·선녀기암·비포장군·명사십리·오성단풍·잠진어화·무의조하·팔리귀범 등이 유명하다.

명칭 유래

용유도의 지명은 섬의 모양이 마치 용이 물위에서 놀고 있는 형상과 비슷하다 하여 유래 되었다고 한다.

자연환경

1월평균기온 ·3.7℃, 8월평균기온 25.5℃, 연강수량은 940.7㎜, 연강설량은 250㎜로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리는 편이다. 섬은 중앙의 지협(地峽)을 중심으로 동서 구릉지가 연결되었으며, 소나무와 상수리나무의 혼합림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약 10ha의 모래밭으로 이루어진 남서쪽 해안에는 을왕리해수욕장·왕산리해수욕장·마시란해수욕장이 분포한다.

형성 및 변천

1914년부천군에 편입되었고, 1973년옹진군에 편제되었다가 1989년에 인천시 중구 소속이 되었다. 고려시대 이래로 국영목장을 설치하여 국마(國馬)를 길렀던 사실이 『대동여지도』에 나타난다.

현황

2006년 말 현재 용유도가 속해 있는 용유동 전체 면적 24.68㎢이다. 인구는 3,703명(남 1,978명, 여 1,725명)이고 세대수는 1,822호이다.

주민은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며, 경지면적은 논 198㏊, 밭 163㏊ 이다. 이들의 경지는 간석지가 일찍부터 간척되어 형성된 것들도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보리·콩·땅콩·마늘·고추·참개 등이 생산된다. 근해에서는 조기·새우·민어·우럭·낙지·숭어·농어·꽃게·망둥어 등이 어획되고 연안에서는 바지락의 채취와 김굴의 양식도 활발했으나 간척사업이후에는 그 활기를 잃어가고 있다.

1963년에 개장된 을왕리해수욕장은 기암괴석과 송림 등으로 알려져 있는 곳으로 현재도 주민들에게 사랑을 받고 잇다. 그러나 간척사업의 진행과 인천국제공항의 건설로 인하여 용유도는 개발의 붐이 일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를 타고 영종대교를 건넌 뒤 영종도를 거쳐 용유도에 접근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제19회 인천광역시 중구 기본통계』(중구청, 2007)
『한국지명유래집·중부편』(국토지리정보원, 2008)
『인천의 이모저모』(인천광역시, 2005)
『인천의 섬』(김종혁 외,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 2004)
『도서지(島嶼誌)』(내무부, 1985)
『한국지명총람』(한글학회, 1982)
『한국지명요람(韓國地名要覽)』(건설부국립지리원, 1982)
인천광역시 중구청 홈페이지(http://www.icjg.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