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높이 260㎝, 불상 높이 230㎝. 1993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신체 볼륨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평면적인 돌기둥 형태의 석불이다. 흔히 미륵불로 통칭되고 있지만 정확한 존명(尊名) 확인이 어렵다.
전체적인 형상은 스님 모습에 가깝다. 하지만 흔히 석상을 미륵불로 통칭하는 이 지역 특유의 민간 신앙과 습합(習合)된 미륵불로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검게 채색된 머릿결의 시작 부분이 한 단 높게 턱이 져 있어 원래는 별도의 보관을 쓴 보살상일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일반적인 석조여래상과는 달리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와 백호공(白毫孔)이 표현되지 않은 점과, 양손을 무릎 위로 가지런히 내려 그 의미가 불분명한 수인(手印)도 이러한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거대한 상의 크기에 비해 조각은 도식적인 선조(線彫 : 가는 선으로 쌓아 올리거나 선을 파 들어가는 조각법)로 추상화되었다. 그리고 신체 곳곳에 채색 흔적이 남아 있다.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의 얼굴은 눈을 지긋이 감고 작은 입가에 미소를 머금은 동안형(童顔形)이다. 검게 채색된 블록형의 머리에는 잎맥 형태의 머릿결을 좌우 대칭적으로 선각하였다.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걸친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V자 형태의 목깃과 양어깨 위에 대칭적으로 새긴 간단한 3줄의 옷주름이 선각되어 있을 뿐이다.
허리의 옷 매듭 중앙에는 수식(垂飾 : 드리개)이 달려 있다. 왼손에는 손바닥을 의도하는 十자형의 손금이 새겨져 있어 수인은 시무외(施無畏) · 여원인(與願印)의 변형 형태일 가능성이 있다.
하체는 윤곽이 불분명하며 정면 좌우 부분에 가로로 새긴 간단한 선으로 가부좌한 모습을 의도했을 뿐이다. 뒷면의 조각은 앞면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 흡사하다.
하지만 허리 중앙에 드리워진 수식의 형태가 약간 다르고 어깨 중앙에 광배 결합용의 구멍 내지는 복장공(腹藏孔)으로 추정되는 직사각형의 구멍이 뚫려 있다. 별석(別石)의 대좌에는 앙련형(仰蓮形)의 연꽃잎이 촘촘히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