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암서원 일원 ( )

목차
관련 정보
입암서원 일원
입암서원 일원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입안서원과 향나무 등의 복합유적. 교육시설.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입암서원 일원(立岩書院 一圓)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원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기념물(1986년 12월 11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로 87 (죽장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입안서원과 향나무 등의 복합유적. 교육시설.
내용

입암서원은 1657년(효종 8)에 창건하였으며, 여헌장현광(張顯光)을 주향(主享)하고, 권극립(權克立)·손우남(孫宇男)·정사상(鄭四象)·정사진(鄭四震) 등을 배향하고 있다.

1868년(고종 5) 대원군(大院君)의 서원철폐령(書院撤廢令)으로 훼손되었고, 1907년 일인(日人)에 의해 묘우(廟宇)가 소실(燒失)되었던 것을 1909년 도내 유림(道內 儒林)들이 강당을 재건하였으며 묘우(廟宇)는 1972년에 재건되었다.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 박공 형식의 측면 내림지붕이며 묘우는 정면 3칸,측면 단칸[單間], 박공지붕이다.

입암서원 경내에는 장현광이 임진왜란을 피하여 이 곳에 왔을 때 심은 향나무가 있는데, 희귀한 노거수(老巨樹)로서 1986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관리되었으나 2004년 태풍피해로 인한 고사로 지정 해제되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한국유학사(韓國儒學史)』
『여헌문집(旅軒文集)』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용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