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음(口音)이라고 한다. 구음은 목소리로 악기의 선율과 같은 소리를 내는 것을 가리키며, 흔히 ‘나니노’ 하고 입타령으로 부른다.
입타령은 악기의 선율을 목소리로 흉내내는 데서부터 비롯되었다고 보며, 악기의 선율을 입타령으로 적는 것을 육보(肉譜)라 한다. 육보는 고려 때부터 있었는데, 당시에는 ‘唐(당)’·‘同(동)’·‘懲(징)’과 같이 한문으로 적었을 것이나,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없다.
육보는 조선 선조 때 안상(安瑺)이 펴낸 『금합자보(琴合字譜)』를 비롯하여 여러 악보에 두루 보이며, 민간에서는 지금도 육보를 쓰고 있다.
가야금·거문고·비파와 같은 현악기의 육보는 ‘당 동 징 덩 둥’ 등으로 현악기를 뜯는 소리와 비슷한 음으로 되어 있고, 젓대·피리와 같은 관악기는 ‘나 노 니 너 누’와 같이 관악기소리와 비슷한 음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해금의 육보는 ‘가 기 고 게’처럼 해금의 소리와 비슷한 음으로 되어 있고, 장구나 북의 육보는 ‘덩기덕 궁’ 하고 북소리와 비슷한 음으로 되어 있다.
노래에서 입타령은 이런 육보를 따서 부르는 것이라 하는데, 반드시 육보에서 보이는 음만을 따르는 것은 아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음악에 입타령이 많이 쓰이는 예는, 「정읍사」의 후렴에 ‘아으 다롱디리’라 한다든지 「청산별곡」에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라고 하는 것과 같이 고가요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보이는 「군마대왕(軍馬大王)」·「별대왕(別大王)」과 같이 입타령으로만 되어 있는 가요도 있다.
현재 전승되는 음악에는 「길군악」과 같은 가사(歌詞), 「놀량사거리」·「화초사거리」와 같은 입창(立唱), 「닐리리야」·「아리랑」과 같은 민요 등 여러 분야의 노래에서 입타령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