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 ()

언어·문자
개념
허파에서 올라오는 공기가 구강 안의 어느 부분 또는 성문을 마찰하거나 폐쇄하여 조음되는 소리. 닿소리.
이칭
이칭
닿소리
내용 요약

자음은 허파에서 올라오는 공기가 구강 안의 어느 부분 또는 성문을 마찰하거나 폐쇄하여 조음되는 소리이다. 닿소리라고도 하며 음소로서의 자음과 구별하여 ‘자성’이라고도 한다. 언어음은 일반적으로 자음과 모음으로 나뉜다. 조음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음성학에서는 자음을 조음위치와 조음양식에 따라 분류한다. 스스로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말의 뜻을 구별 짓는 소리를 음소라고 하며, 이 음소들 사이의 차이를 음운론적 대립이라고 한다. 국어에서는 파열음·파찰음·마찰음·비음·유음·반모음이 음소로 기능하며 음운론적 대립을 보이는 자음체계를 이루고 있다.

정의
허파에서 올라오는 공기가 구강 안의 어느 부분 또는 성문을 마찰하거나 폐쇄하여 조음되는 소리. 닿소리.
개괄

‘닿소리’라고도 하며, 음소로서의 자음과 구별하여 ‘자성(字聲, contoid)’이라고도 한다.

언어음(言語音, speech 주1은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음성학적으로 그 분류기준을 엄밀히 규정하기는 어렵다. 음절구성에 의한 기준, 음향학적 기준, 조음양식에 의한 기준 등으로써 자음과 모음을 규정하기도 하지만, 그 어느 기준에 의하여도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다.

영어의 button[b{{%297}}tn]과 middle [midl]에서 [n]과 [l]은 모음이 아닌데도 하나의 음절을 이루며, 자음 [m],[n],[{{%169}}]은 대부분의 자음과는 달리 주2이다. 그리고 주3[○]및 주4 [h]등은 분류에서 제외된다. 이러한 사실에서 위 분류의 규정이 정확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조음위치에 의한 분류

조음(調音)주5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음성학에서는 자음을 조음위치와 조음양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① 양순음(兩唇音, bilabial) : 두 입술로 내는 음으로 [p],[p’],[{{%146}}], [m]등과 [w]가 이 음에 속한다. 국어의 ‘ㅂ’, ‘ㅃ’ ,‘ㅍ’ , ‘ㅁ’ 등과 ‘와, 워’ 의 초성(初聲) ‘ㅗ’ 나 ‘ㅜ’ 가 여기에 해당된다.

② 순치음(唇齒音, labio-dental) : 아랫입술을 윗니에 가져다 대고 내는 음으로 [f],[v]등이 이 음에 속한다. 국어에는 이 음이 쓰이지 않는다.

③ 치간음(齒間音, interdental) : 혀끝을 윗니 끝에 가져다 대고 내는 음으로 [{{%170}}],[{{%171}}]가 그것이다. 이 음은 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④ 치경음(齒莖音, alveolar) : 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내는 음으로 [t], [t’], [n], [s]등이 그것이다. 국어의 ‘ㄷ’, ‘ㄸ’, ‘ㄴ’, ‘ㅅ’ 등의 음이 이에 해당된다.

⑤ 권설음(捲舌音, retroflex) : 주6를 향하여 혀끝을 말아올려 내는 음으로 [t], [{{%172}}], [{{%173}}],[{{%174}}]또는 [{{%175}}], [{{%176}}], [{{%177}}], [{{%178}}]등이 그것이다. 국어에서는 ‘물’, 불’을 말할 때의 ‘ㄹ[{{%173}}]’이 이에 해당된다.

⑥ 경구개치경음(硬口蓋齒莖音, palato-alveolar) 또는 치경구개음(alveo-palatal) : 전설면(前舌面)을 잇몸과 경구개 사이에 대고 내는 음으로 [{{%179}}], [{{%180}}], [ʃ], [Ʒ]가 있다. 국어에서 ‘ㅈ’, ‘ㅉ’의 음과 ‘쉽다’의 ‘ㅅ’음은 각각 [{{%179}}], [{{%180}}]과 [ʃ]에 해당된다.

⑦ 경구개음(硬口蓋音, palatal) : 전설면을 경구개에 대고 내는 음으로 [{{%181}}], [{{%218}}], [{{%182}}], [j]등이 이 음에 해당된다. 국어에서 ‘힘’ 등 ‘ㅣ’ 앞의 ‘ㅎ[{{%181}}]’과 ‘성냥’의 ‘ㄴ[{{%218}}]’, ‘달력’에서 둘째음절의 ‘ㄹ[{{%182}}]’ 그리고 ‘야’, ‘여’의 초성 ‘ㅣ[j]’의 음들이 각각 위에 제시된 음에 해당된다.

⑧ 연구개음(軟口蓋音, velar) : 후설면을 연구개에 대고 내는 음으로 [k], [k’], [{{%183}}], [{{%169}}]등이 그것인데, 이 음들은 각각 국어의 ‘ㄱ’, ‘ㄲ’, ‘ㅋ’과 음절말의 ‘ㅇ’이 여기에 해당된다.

⑨ 구개수음(口蓋垂音, uvular) : 후설면을 주7에 대고 내는 음으로 [q], [G], [N]이 그것이다. 이 음은 국어에서 사용되지는 않지만 ‘관광 [qwaNGwaN]’을 과장하여 발음할 때 발생된다.

⑩ 성문음(聲門音, glottal) : 두 성대 사이에서 나는 음으로 [○], [h], [○]등이 이 음에 속한다. 국어에서는 놀랐을 때 발하는 ‘악[○a○]’이나 ‘하늘[han○l]’과 ‘영향[j○ŋ{{%184}}aŋ]’의 ‘ㅎ’에서 이 음을 찾을 수 있다.

조음양식에 의한 분류

조음양식에 의하여, 모든 자음은 장애음(障碍音, obstruents)에 속하는 파열음 · 마찰음 · 파찰음과 공명음(共鳴音, sonorants) 또는 악음에 속하는 비음 · 설측음 · 전(동)음 · 탄(설)음 · 반모음 등으로 구분된다.

① 파열음(破裂音, plosives) :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입안에서 완전 폐쇄되었다가 갑자기 터지면서 나는 음으로 폐쇄음(閉鎖音, stops)이라고도 한다.

폐쇄음에는 폐쇄만으로 끝나는 것과 파열이 뒤따르는 것이 있다. 전자를 억지폐쇄음(抑止閉鎖音, unreleased stops)이라 하고, 후자를 개방폐쇄음(開放閉鎖音, released stops)이라고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파열음은 개방폐쇄음에 해당된다.

억지폐쇄음은 국어의 ‘밥, 끝, 복’의 종성(終聲) ‘ㅂ, ㅌ, ㄱ’에서 발견된다. 이들 음은 각각 [{{%185}}], [{{%186}}], [{{%187}}]또는 [{{%100}}], [{{%101}}], [{{%188}}]이다.

국어에 사용되는 파열음에는 평파열음(平破裂音) · 경파열음(硬破裂音) · 유기파열음(有氣破裂音)이 있다. 평파열음에는 어두(語頭)에서 발견되는 무성파열음 [p], [t], [k](‘박, 달, 강’의 초성)와 유성음 사이에서 발견되는 유성파열음 [b], [d], [○](‘사발, 온돌, 요강’의 ‘ㅂ, ㄷ, ㄱ’)가 있다.

경파열음은 [p’], [t’], [k’](‘뼈, 딸, 끝’의 초성)이고, 유기파열음은 [{{%146}}], [{{%189}}], [{{%183}}](‘팔, 탈, 칼’의 초성)이다. 이 밖에 ‘관광’을 과장하여 발음할 때의 [qwaNGwaN]중 [q]는 무성파열음이고 [G]는 유성파열음이다. 그리고 놀랐을 때 발하는 ‘악[{{%191}}a{{%191}}]’에서 초성[{{%191}}]는 경파열음에 속한다.

② 마찰음(摩擦音, fricatives) : 주8를 조음장소에 매우 가까이 접근시켜서 생긴 좁은 틈 사이로 공기를 불어낼 때나는 음으로, 성대진동의 유무에 따라서 유성마찰음(有聲摩擦音, voiced fricatives)과 무성마찰음(無聲摩擦音, voiceless frica-tives)으로 나뉜다.

국어에 사용되는 마찰음에는 평무성마찰음 [{{%192}}], [s], [ʃ], [{{%181}}], [{{%193}} ], [h](‘휘파람, 사람, 쉽다, 실, 힘, 하늘’의 어두음)과 평유성마찰음 [β], [z], [{{%195}}], [○], [{{%184}}](‘부부, 가자, 가지, 고기, 영향’ 중 둘째음절의 초성), 그리고 경무성마찰음 [s’], [{{%181}}’](‘싸움, 씨름’에서의 ‘ㅆ’)이 있다.

③ 파찰음(破擦音, affricates) : 폐쇄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파열과 마찰의 과정을 거치면서 나는 음으로, 국어에 사용되는 파찰음에는 평파찰음 · 경파찰음 · 유기파찰음이 있다. 평파찰음은 다시 무성 · 평 · 파찰음[{{%179}}]또는 [c](‘잠, 자리’의 ‘ㅈ’)과 유성 · 평 · 파찰음[{{%196}}}]또는 [{{%197}}](‘바지’의‘ㅈ’)로 나뉜다. 경파찰음은 [{{%180}}]또는 [c’](‘짝’의 ‘ㅉ’)이고 유기파찰음은 [{{%198}}]또는 [{{%199}}](‘차’의 ‘ㅊ’)이다.

④ 비음(鼻音, nasals) : 파열음과 마찬가지의 조음방식이나 공기가 주9으로 나가게 하면서나는 음으로 국어에 사용되는 비음에는 [m], [n], [{{%218}}], [ŋ](각각 ‘말, 날, 성냥, 강’에서의 ‘ㅁ, ㄴ, ㄴ, ㅇ’)이 있다. 이 밖에 구개수와 후설면 후부(後部) 사이에서 나는 비음 [N]이 있는데, 이 음은 ‘관광’을 과장하여 발음할 때 나는 ‘ㄴ’과 ‘ㅇ’의 음이다.

⑤ 설측음(舌側音, laterals) : 구강의 중앙통로가 차단되어 공기가 혀 옆을 지나면서나는 음으로서, 국어에는 세 종류의 설측음 [l], [{{%173}}], [{{%182}}](각각 ‘말’과 ‘물’의 ‘ㄹ’, ‘달력’에서 둘째음절의 ‘ㄹ’)이 사용된다.

⑥ 전(동)음[顫(動)音, trill]: 혀끝이 치경을 두 번 이상 가볍게 두들기면서 나는 음으로, 국어에서는 이 음이 사용되지 않으나 노래를 부를 때 모음 사이의 ‘ㄹ’(‘노래, 보리’에서의 ‘ㄹ’)이 가끔 이 음 [r]으로 실현된다.

⑦ 탄(설)음[彈(舌)音, flap]: 혀끝이 치경을 가볍게 한번 두들기면서 나는 음으로 [{{%163}}]이 이 음인데, 국어에서 모음 사이의 ‘ㄹ’음이 그것이다.

⑧ 반모음(半母音, semi-vowels) : 혀가 폐모음 [i, u]를 조음할 때보다 구개에 더 접근된 상태에서 나는 음으로 접근음(approximants)이라고도 한다. [j]와 [w]가 이 음에 속하는데, 국어에서는 ‘야, 요’와 ‘와, 워’의 ‘ㅣ’와 ‘ㅗ, ㅜ’가 이 음이다.

지금까지 분류된 자음들 중 일부는 임의로 달라질 수 있는 것이 있다. 예컨대, 국어에 사용되는 자음[字聲]중 [q], [G], [N]은 단어의 뜻을 바꾸지 않고 각각 [k], [g], [ŋ]으로 교체될 수 있다. 그 밖에 [{{%192}}, {{%193}}, {{%184}}]는 [h]로, [β]는 [b]로, [z, {{%195}}]는 [{{%196}}]로, [○]는 [g]로, [{{%173}}]은 [l]로, [r]은 [{{%163}}]로 교체될 수 있다.

교체 가능한 음들을 제외시키고 경구개치경과 경구개의 조음위치를 합하면 현대국어에 사용되는 자음은 [표 1] 과 같다. 점선은 무성(왼쪽)과 유성(오른쪽)의 경계를 표시한다.

한 언어 안에 존재하는 자음 음소의 음운론적 대립의 총화.

[표 1]에서 제시된 국어의 자음들이 모두 단어의 뜻을 구별시키는 기능, 즉 변별적 기능(辨別的機能)을 가지면서 자음체계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국어에서 사용되는 양순파열음 가운데 [p], [{{%185}}], [b]등은 ‘밥 [pa{{%185}}]’, ‘이발 [ibal]’ 등에서 실현되고 있지만, 한국인의 주관적인 파악에 의하면 모두 하나의 ‘ㅂ’으로만 인식된다. 이러한 사실은 이들 음이 변별적 기능을 가지지 못함을 말하여 준다.

반면에, [p]와 [p’], [{{%146}}]는 ‘불 [pul]’, ‘뿔 [p’ul]’, ‘풀 [{{%146}}ul]’에서처럼 단어의 뜻을 구별시키는 변별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주관적인 파악에 있어서도 분명히 다른 음으로 인식된다.

이처럼 스스로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말의 뜻을 구별짓는 소리를 음운 또는 음소라고 하며, 음성( [ ])과 구별하여 / /로 표시한다. 그리고 그러한 음운들 사이의 차이를 음운론적 대립이라고 한다.

국어의 자음체계는 국어에서 사용되는 자음들 중 어떠한 것들이 음소로 기능하는가를 살피고, 그 결과인 자음 음소 상호간의 음운론적 대립관계를 밝힘으로써 확립된다.

① 파열음 : [표 1]에서의 파열음 계열 중에서 억지폐쇄음에 속하는 [{{%185}}], [{{%186}}], [{{%187}}]와 유성파열음인 [b], [d], [g]는 각기 음절말(‘밥, 끝, 복’의 종성)과 유성음 사이 (‘사발, 온돌, 요강’의 제2음절)에서 실현되는데, 이들 음은 언제나 초성의 ‘ㅂ [p]’과 동일하게 인식되며, 또한 단어의 뜻을 바꿀 수 있는 변별적기능을 전혀 가지지 못하므로 각기 음소/p/, /t/, /k/의 변이음(變異音)이 된다.

반면, 평파열음 [p], [t], [k], 경파열음 [p’], [t’], [k’], 그리고 유기파열음 [{{%146}}], [{{%189}}], [{{%183}}]등은 음운론적 대립을 보인다[[pul](불, 火) : [p’ul](뿔, 角) : [{{%146}}ul](풀, 草), [tal](달, 月) : [t’al](딸, 女兒) : [{{%189}}al](탈, 假面), [k{{%200}}da](개다, 晴) : [k’{{%200}}da](깨다, 破) : [{{%183}}{{%200}}da](캐다, 掘)].

그리고 양순파열음과 치경파열음/연구개파열음도 서로 음운론적인 대립을 보인다. 따라서, 파열음에 속하는 음소는 /p/, /p’/, /{{%146}}/, /t/, /t’/, /{{%189}}/, /k/, /k’/, /{{%183}}/ 등의 9개이다. 이들은 음절말에서 각기 [p], [t], [k]로만실현된다.

② 파찰음 : [{{%179}}], [{{%196}}], [{{%180}}], [{{%198}}]가 이 음에 속한다. 이 중에서 음운론적 대립을 보이는 것은 [{{%179}}], [{{%180}}], [{{%198}}]뿐이다 {[{{%179}}anda](잔다, 宿) : [{{%180}}anda](짠다, 織) : [{{%198}}anda](찬다, 蹴)}. 그러므로 이들 음은 음소로서 인정되며 각각/{{%179}}/, /{{%180}}/, /{{%198}}/이나 /{{%201}}/, /{{%202}}/, /{{%203}}/ 등으로 표시된다.

한편, [{{%196}}]는 유성음 사이에서만 실현되나 언제나 {{%179}} 또는 {{%202}}(ㅈ)로 인식되므로 /○/ 또는 /○/의 변이음이 된다. 음소 /{{%179}}/, /{{%180}}/, /{{%198}}/는 음절말에서 [{{%186}}]로만 실현된다.

③ 마찰음 : [s], [ʃ], [○], [s’], [○’], [h]가 이 음에 속한다. 이 중에서 [s], [s’], [h]만이 음운론적인 대립을 보인다 {[sal](살 肉) : [s’al](쌀, 米), [s{{%200}}](새, 新) : [h{{%200}}](해, 太陽), [{{%298}}lda](썰다, 斷) : [{{%299}}lda](헐다, 毁)}. 그러므로 [s], [s’], [h]는 음소로 인정되며 각각 /s/, /s’/, /h/로 표시된다.

한편, [ʃ]는 [y(ㅟ)]와 같은 한정된 모음 앞에서만 실현되나 언제나 s(ㅅ)로만 인식되며, [{{%181}}]와 [{{%181}}’]는 [i]나 [j]앞에서만 실현되나 각각 s(ㅅ)와 s’(ㅆ)으로만 인식된다. 그러므로 [ʃ]와 [{{%181}}]는 /s/의 변이음이 되며, [{{%181}}’]는 /s’/의 변이음이 된다. 음소 /s/, /s’/는 음절말에서 [{{%186}}]로 실현된다.

④ 비음 : [m], [n], {{%218}}, [{{%169}}]이 이 음에 속한다. 이 중에서 [m], [n], [{{%169}}]만이 음운론적 대립을 보인다 {[nom](놈, 者) : [non](논, 沓) : [no{{%169}}](농, 籠)}. 그러므로 [m], [n], [{{%169}}]은 음소로 인정되며 각각 /m/, /n/, /{{%169}}/으로 표시된다. 한편, {{%218}}는 [i, j]앞에서 실현되나 언제나 n(ㄴ)으로만 인식되므로 /n/의 변이음이 된다.

⑤ 유음 : [l], [{{%182}}]가 이 음에 속한다. 이 중에서 [{{%163}}]는 모음 사이에서만 실현되고 [{{%182}}]는 [l]과 [i, j]사이에서만 실현되며 [l]은 그 밖의 환경에서 실현된다. 이들 음은 언제나 ‘ㄹ’로만 인식된다. 그러므로 [l]을 음소로 정하면 [{{%182}}]과 [{{%163}}]은 /l/의 변이음이 된다. /l/은 다른 유성자음과 음운론적인 대립을 보인다 [[sal](살, 肉) : [sam](삼, 麻) : [san](산, 山) : [sa{{%169}}](상, 床)].

⑥ 반모음 : [j]와 [w]가 이 음에 속한다. 이들 음은 모두 음운론적 대립을 보이므로 음소로 인정된다{[j○n](연, 鳶) : [w○n](원, 圓)}. 따라서, 이들 음은 /j/, /w/로 표시된다.

앞에서 실시된 음소분석 결과로부터 현대국어의 자음체계를 정리하여 도시(圖示)하면 [표 2]와 같다. 그리고 체계를 이루는 자음 음소들이 촘스키와 할레(Chomsky and Halle, 1968)의 변별적 자질에 대하여 보이는 음운론적인 대립관계를 변별적 자질도(辨別的資質圖)로 나타내면 [표 3]과 같다.

위의 자음체계는 방언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동남방언의 경우, 낙동강 동쪽 지역어에는 일반적으로 마찰음 /s’/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지역어에서는 ‘살[肉]’과 ‘쌀[米]’은 모두 [sal]로 음성실현되며, ‘산다[買]’와 ‘싼다[裝]’는 모두 [sanda]로 음성실현된다.

또, 동남방언과 강원도의 동해안지역어 등은 후두폐쇄음 /{{%191}}/를 가진다[/silh-/(싫다, 憎) : /sil{{%191}}-/(싣다, 載), /k{{%131}}: l―/(걸다, 掛) : /k{{%131}}:l{{%191}}-/(걷다, 步)]. 그러므로 그들 지역어에는 /{{%191}}/가 체계에 더 추가된다. 그 경우에 음소 /{{%191}}/와 /h/의 대립은 ‘연속성’ 또는 ‘성문음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연속성’에 대하여 /{{%191}}/는 - 이고 /h/는 十이며, ‘성문음성’에 대하여 /{{%191}}/는 十이고 /h/는 -이다. 그 밖의 자질값은 두 음소에 동일하다. →음성, 음운

참고문헌

『한국어음운론』(정연찬, 개문사, 1980)
『국어음운론』(이기문·김진우·이상억, 학연사, 1984)
『국어음운학』(허웅, 샘문화사, 1985)
「음운-경상남도-」(김영송, 『경상남도지』 중, 1963)
「음운론 및 음성학」(김완진, 『국어학개론』, 수도출판사, 1965)
「강릉방언의 형태음소론적고찰(形態音素論的考察)」(이익섭, 『진단학보』 33, 1972)
「동남방언(東南方言)의 세 음소」(최명옥, 『국어학』 7, 197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Chomsky, N. & Halle, M., New York ; Harper and Row, 1968)
주석
주1

발음 기관에 의하여 조음(調音)되어 언어에 사용되는 소리. 분절성(分節性)을 가지지 않는 비명, 신음, 기침 소리 따위는 제외된다.    우리말샘

주2

진동이 규칙적이고, 일정한 높이가 있는 음. 노래나 대부분의 악기 소리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3

성대를 일시적으로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    우리말샘

주4

입 안이나 목청 따위의 조음 기관이 좁혀진 사이로 공기가 비집고 나오면서 마찰하여 나는 소리. ‘ㅅ’, ‘ㅆ’, ‘ㅎ’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5

말소리의 산출에 관여하는 발음 기관 즉, 성대, 목젖, 혀, 이, 입술 따위의 움직임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입천장 앞쪽의 단단한 부분. 두꺼운 점막으로 덮여 있고, 앞쪽에 뼈가 있다.    우리말샘

주7

‘목젖’을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자음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움직여 조음점에 접근하는 발음 기관. 혀, 아랫입술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9

콧구멍에서 목젖 윗부분에 이르는 빈 곳. 냄새를 맡고, 공기 속의 이물을 제거하며, 들이마시는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