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부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궁예 정권에서 내군장군 등을 지낸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918년(태조 1)
주요 관직
내군장군(內軍將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은부는 남북국시대 궁예 정권에서 내군장군(內軍將軍) 등을 지낸 무신이다. 궁예의 휘하에서 친위군을 이끌며 국왕의 신변 경호를 담당한 내군장군직에 있었고, 궁예가 대신들을 숙청할 때 이를 함께 주도하였다. 왕건의 고려가 들어선 직후 과거 궁예의 친위 세력이었던 전력이 문제가 되어 죽임을 당하였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궁예 정권에서 내군장군 등을 지낸 무신.
주요 활동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에 따르면, 내군장군(內軍將軍) 은부(犾鈇)는 어려서 머리를 깎이고 목에 칼을 씌우는 형벌을 받았던 죄인이었다고 한다. 또한, 교묘한 말로 죄를 용서받은 뒤 훗날 궁예의 총애를 받게 되었으며, 남을 헐뜯고 고소하는 말을 잘하여 선량한 사람들을 많이 모함하였기 때문에 처형되었다고 전한다.

이와 같은 기록은 궁예 정권을 무너뜨린 왕건(王建) 정권의 입장에서 기록된 것으로, 은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로 일관하고 있다. 일단 은부는 어릴 때 모종의 범죄에 연루되는 등 사회적 ·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처지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도 그가 궁예의 심복인 내군장군을 지낼 수 있었던 것은 군사적인 능력을 발휘해서 인정받은 것이 계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군장군은 친위군을 이끌며 궁예의 신변 경호를 담당하였던 직위였다. 그런데 내군장군인 은부는 참소를 자행하여 자주 죄 없는 사람들에게 죄를 씌웠다고 한다. 은부가 한 참소나 모략이란 그가 정권 내부의 반역 움직임을 적발하는 일을 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당시 궁예는 스스로 미륵불(彌勒佛)을 자처하면서 부인 강(康)씨와 두 아들을 살해하고, 반대 세력에 대한 정치적 숙청을 자주 벌이는 등 공포정치를 단행하였다. 내군장군 은부는 궁예의 휘하에서 이러한 숙청을 주도한 인물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918년 6월 왕건은 정변을 일으켜 궁예를 내쫓은 후 고려의 국왕으로 즉위하였는데, 이후 일정 기간 민심의 안정에 주력하면서, 또 한편으로 과거에 궁예를 추종한 세력이나 왕건의 즉위에 불만을 가진 세력들을 숙청하는 작업도 진행하였다. 특히, 이해에 마군(馬軍) 장군(將軍) 환선길(桓宣吉)의 역모 사건이 있었는데, 왕건은 차후에도 발생할지 모르는 이러한 모반 사건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개경에 있던 궁예의 추종 세력을 하나둘씩 제거해 갔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사』에는 은부가 왕건에 대해 반역 또는 반역 모의를 한 기록이 없다. 따라서 그가 왕건에게 숙청을 당해 죽게 된 원인은 과거 궁예의 친위 세력으로서 전제 왕권 강화를 도왔던 전력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왕건 측이 은부에게 회유하지 않고 바로 숙청을 단행한 것은 아마도 그의 세력이 만만치 않아서 방치할 경우에 훗날에 화근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논문

류영철, 「曹物城싸움을 둘러싼 高麗와 後百濟」(『國史館論叢』 92, 국사편찬위원회, 2000)
趙仁成, 「Ⅲ.후삼국의 정립」(『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