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의약학
개념
가루약을 뭉쳐 동글납작한 모양으로 만든 약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가루약을 뭉쳐 동글납작한 모양으로 만든 약제.
내용

배합된 약물을 기계나 인공적으로 분쇄하여 곱게 가루로 만든 다음, 단독 혹은 여기에 몇 가지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일정한 형태를 만들고 바깥의 껍질을 별도로 빚어낸다.

이것은 내복할 수도 있고 외용으로도 쓸 수가 있다. 또, 분쇄하여 복용하기도 하고, 갈아서 즙으로 먹기도 하며, 환부에 붙이기도 한다.

정제로 만드는 까닭은 경구적으로 복용할 때에 입 안에서 쓴맛을 내거나 독한 냄새를 내는 것을 피하기 위한 복용의 간편성에서 만들어졌다. 뿐만 아니라 복용한 뒤에 위장 내에서 쉽게 용해가 되어 약효를 발휘할 수가 있어야 한다.

근래에 와서는 비타민류를 쓰기도 하고 색을 아름답게 하며 광택을 내기도 하는데, 이러한 모든 것은 인체에 유해한 것이어서는 안 된다. 한방치료에서 모든 독충물(벌·거미·쥐·여우·소·말·복어·벌레·새)에 피해를 입었을 때에 해독제로서 가장 많이 쓰여 왔던 자금정(紫金錠)은 지금도 그 효능이 우수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方劑學』(廣州醫學院,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