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렬 ()

목차
국악
인물
일제강점기 조선성악연구회를 조직하여 활동한 판소리의 명창.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6년(고종 13)
사망 연도
1938년
출생지
전라북도 익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조선성악연구회를 조직하여 활동한 판소리의 명창.
내용

5명창 중의 한 사람이다.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 출생. 어려서부터 판소리에 소질이 있었고 목청이 좋아 판소리에 뜻을 두고 7세에 정창업(丁昌業) 문하에 들어가 소리공부를 시작하였다.

14세 때에 정창업이 죽자 그 뒤 이날치(李捺致)로부터 배웠으나 16세 때에는 이날치도 죽어서 혼자 공부하였다. 이후 익산 신곡사(神谷寺), 충청남도 홍산 무량사(無量寺), 충청남도 공주 갑사(甲寺) 등지를 옮겨 다니며 40세 전후까지 판소리를 공부하였으며, 한때 마산에서 몇 해 동안 판소리를 지도하였다.

1926년에 50세의 나이로 서울에 올라와 소리선생으로 활약하였는데, 그의 명망은 대단하였다. 그는 고종으로부터 참봉 벼슬을 제수받았다고 전해진다 오랫동안 「춘향가」를 연마하였고, 「춘향가」를 새로 짜서 정교한 음악적 특징을 가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발표하자 많은 제자들이 그에게 「춘향가」를 배우게 되었다.

1934년 송만갑(宋萬甲) · 이동백(李東伯) · 김창룡(金昌龍) 등과 함께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硏究會)를 조직하여 교육과 판소리 공연에 힘썼다. 특히 창극공연에 힘써 그에 의해 편극되어 무대에 올려진 1936년의 「춘향전」과 「심청전」은 획기적인 것이었고, 공연의 대성황을 이룬 작품이었다. 당시의 창극발전에 끼친 지대한 공은 독보적인 것이다.

그는 선천적으로 목이 탁하고 성량이 부족하여 여러 번 좌절하였으나 50세까지 포기하지 않고 끈질기게 수련을 하여 대명창이 된 것이다. 그의 음반으로 여러 대목이 남아 있는데 「춘향가」에 걸작이 많다.

그의 더늠으로는 「춘향가」 중에서 ‘신연맞이’이다. 그의 소리는 김여란(金如蘭) · 김연수(金演洙) · 이기권(李基權) · 조진영(趙進榮) 등 많은 명창이 이어받았으나, 김여란의 「춘향가」가 정정렬의 바디에 가장 가깝다고 한다.

참고문헌

『한겨레음악인대사전』(송방송, 보고사, 2012)
『한국의 판소리』(정병욱, 집문당, 1981)
『창극사연구』(박황, 백록출판사, 1976)
『판소리소사』(박황, 신구문화사, 1974)
『조선창극사』(정노식, 조선일보사 출판부, 1940)
「정정렬 논」(배연형, 『판소리연구』17, 2004)
「1940년대 판소리와 창극 연구」(김민수, 한국학중앙연구원박사학위논문, 20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