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가 (제비)

목차
국악
작품
서울의 긴잡가인 12잡가.
목차
정의
서울의 긴잡가인 12잡가.
내용

사설의 내용은 남도의 잡가인 「새타령」과 판소리 「흥보가」의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에서 빌려온 것들이지만, 서울목으로 재치있게 꾸민 소리이다.

처음 도드리장단으로 “첩청산 늙은범 살진 암캐를 물어다 놓고” 부분은 「제비가」와는 전혀 관계없는 판소리 「춘향가」중 사랑가 부분을 노래한다. 그러나 세마치장단으로 변하면서부터 제비·꾀꼬리·두견새·앵무새·학·두루미·공작·접동새·기러기 등 각종 새들을 노래한다.

「제비가」는 도드리장단 부분과 세마치장단 부분으로 되어 있다. 도드리장단 부분은 5마루요, 세마치장단 부분은 9마루로 되어 있다. 음계는 도드리 부분이 솔(G)-도(c)-레(d)-미(e)-솔 (g′)의 4음음계로 되어 있고, 특히 솔-도-미의 3음이 현저하여 경기소리 특유의 맛이 난다.

그러나 세마치 부분에서 갑자기 f음이 나오면서 조(調)가 바뀌어 G·c·d·f·g·a의 음들이 나오며 높은 상(上)청인 g·a음들과 함께 G(레)-d(라)-f(도)의 3음이 두드러져 서도소리의 음계로 변한다.

종지음도 창자에 따라 c(솔)로 끝나서 서울소리의 맛을 내는 이도 있으나, 대개는 d(라)로 끝나서 서도소리식으로 끝내는 이가 많다. 이렇게 도드리에서 세마치로 장단이 변하고, 조도 경기소리조에서 서도소리조로 바뀌는 변화가 있기 때문에, 다른 긴잡가에서는 맛볼 수 없는 비약적인 가락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잡가악보집』(한국국악학회, 1983)
『한국가창대계』(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75)
『십이잡가』(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67)
『국악개요』(장사훈, 정연사, 1961)
집필자
한만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