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응문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사옹원정, 연안부사, 종부시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일관(一貫)
송호(松湖), 무민(無悶)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9년(명종 4)
사망 연도
1611년(광해군 3)
본관
한양(漢陽)
주요 관직
종부시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사옹원정, 연안부사, 종부시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일관(一貫), 호는 송호(松湖) 또는 무민(無悶). 조면(趙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광필(趙廣弼)이고, 아버지는 연안부사 첨지 조징(趙澄)이며, 어머니는 영화정(永花正)이정주(李呈珠)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94년(선조 27) 부사과로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성균관전적에 제수된 이래 각 조 좌랑을 역임하였고, 접반관(接伴官)으로 명장(明將)을 수종하여 호남을 돌았다. 그 뒤 각 조의 정랑, 사헌부장령·남양부사·사옹원정·군기시정·연안부사·종부시정 등 내외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종부시정으로 있을 때 종친들의 친제(親祭) 참여를 검칙하지 않았다는 사헌부의 상소로 교체되었다. 성품이 온후하고 독실하며 인정이 많았고, 친구들과 술마시기를 즐겼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지봉집(芝峯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