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묘문 ()

목차
관련 정보
중묘문
중묘문
도교
문헌
내단사상에 관련된 여러 주제를 설정하고, 이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도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내단사상에 관련된 여러 주제를 설정하고, 이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도교서.
내용

1권 1책. 필사본. 이 책의 찬술 시기는 책의 내용에 권극중(權克中)의 견해가 인용된 것으로 보아 17세기 후반 이후로 보인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내용은 내단사상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설정하고, 이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연기(煉己)」·「섭생조기(攝生調氣)」 등은 내단수련에 필요한 청정무위한 삶의 자세를 밝힌 것이다.

「용호(龍虎)」·「화후(火候)」·「현주(玄珠)」·「추첨(推添)」·「운하거(運河車)」·「목욕(沐浴)」 등은 내단수련의 과정이나 방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중요 개념들을 설명한 것이다.

「음양총론(陰陽總論)」·「건곤역지문호(乾坤易之門戶)」·「양의호알성조화(兩儀互斡成造化)」 등은 내단사상의 형이상학적 근거인 음양사상에 관한 논의이며, 「신실처소(神室處所)」 등은 내단 수련과정에서 필요한 구체적 준비사항에 관한 것이다.

이 밖에 「금신기요(錦身幾要)」·「팔단금(八段錦)」 등의 도인술, 「고치집신법(叩齒執神法)」·「구삼혼법(拘三魂法)」·「제칠백법(制七魄法)」·「복기토납(服氣吐納)」 등 내단수련을 보조하는 여러 기법 등에 관한 것도 보인다.

내용의 전개는 주로 관련 주제에 관해 중국의 도교문헌에서 내용을 가려 뽑아서 편집하는 형식이나, 여동빈(呂洞賓)의 『고효가(敲爻歌)』, 최희범(崔希范)의 『입약경(入藥鏡)』 등 원문 그대로 실린 것도 있다.

이 밖에 권극중의 『참동계주해(參同契註解)』의 내용도 도처에 나타난다. 따라서 이 책은 권극중의 사상적 영향을 받아 저술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 인용된 중국 도교문헌으로는 위백양(魏伯陽)의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를 비롯하여 내단사상을 중흥시킨 여동빈 뿐 아니라 북파·남파 등 여러 유파의 인물과 문헌이 고루 나타난다.

그 중 비교적 중시되는 문헌으로서는 장백단(張伯端)의 『오진편 悟眞篇』, 주재위(朱載瑋)의 『현오집성(玄奧集成)』, 진치허(陳致虛)의 『금단대요(金丹大要)』, 백옥섬(白玉蟾)의 『백옥섬어록(白玉蟾語錄)』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남파 관련 문헌들이므로 『중묘문』에는 남파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고 추측한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