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 )

목차
관련 정보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중초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깃대기둥. 당간지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安養 中初寺址 幢竿支柱)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당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기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 (석수동) / (지번)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12-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중초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깃대기둥. 당간지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64m. 원상대로 85㎝의 간격을 두고 양 지주가 동서로 마주서 있는데, 마주 대하는 내측면에는 아무런 조식이 없으며 외면에도 장식이 없다.

앞뒤 양 측면에도 조각이 없어 장식적인 의장은 없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상부에는 약간의 가공이 있어 옛날식을 보인다고 하겠다.

즉, 양 지주의 상부는 내측면 위의 끝부분에서 외면으로 내려오면서 호선(弧線)을 그리며 깎였는데 굴곡이 없이 둥글다. 그리고 위로부터 아래로 1.21m 지점까지는 6㎝의 두께로 전면(全面)이 깎였다.

그러므로 이 모양을 양 지주의 외면에서 보면 정상부에 길이로 널찍한 액면(額面)이 오목새김된 것 같고, 앞·뒷면에서는 상단부(上端部)가 유려하게 원호를 이루면서 상부(1.21m)만을 다듬은 것처럼 보인다.

당간을 고정시키는 간(杆)은 상·중·하의 세 곳에 간구를 마련하여 장치하였던 것으로, 상부는 내면 상단에 장방형의 구멍을 마련하여 간을 장치하였고, 중·하부는 관통한 둥근 구멍에 간을 설치하게 되었다.

현재 지주의 기단부는 밑바닥에 장대석의 기반석을 지주 사이와 양 지주의 바깥쪽에 각기 한 장씩 깔아서 기대를 삼고 있을 뿐이다.

간대는 지주 사이의 장대석 중심부에 둥근 구멍을 뚫었으며, 그 주변에 둥근 띠를 둘러서 마련하였다. 그런데 간대석과 양 지주 밑바닥의 기반석 높이가 같은 것으로 보아 기단부에는 이 밖의 특수한 구조는 없었던 것 같다.

이곳을 중초사지라고 일컫는 것은 서쪽 지주의 외면에 새겨진 주기(柱記)의 명문에 의한 것이다. 명문의 내용은 모두 6행 123자의 해서체(楷書體) 오목새김으로 자경(字徑)은 6∼7㎝이다.

이 명문에 의하면 신라 흥덕왕 1년(826) 8월 6일에 채석(採石)하여 이듬해인 827년 2월 30일에 건립이 끝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이하에는 조성책임자인 절주통(節州統) 황룡사 항창화상(恒昌和尙)을 위하여 일에 참여한 법사(法師) 10명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이 당간지주의 명문은 당간지주의 확실한 조성연대를 밝혀 줄 뿐만 아니라 이곳에 있던 절이 중초사였음을 알려준 귀중한 명문이다. 또한, 명문에는 신라식의 속한문(俗漢文)을 혼용한 곳이 있어 고대 국어사 연구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문화재대관』6 보물4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朝鮮金石攷』(葛城末治, 東京: 國書刊行會, 1974)
「中初寺幢竿石柱記」(鮎貝房之進,『雜攷』6-上, 1934)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정영호(한국교원대학교, 미술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