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

목차
식물
생물
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이칭
이칭
서과(鼠瓜), 쥐참외, 주먹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내용

조선시대에는 서과(鼠瓜)로 불렸는데, 『동의보감』에서는 ‘쥐ᄎᆞᆷ외불휘’, 『임원경제지』에서는 ‘쥐ᄎᆞᆷ외’로 되어 있다. 학명은 Thladiantha dubia Bunge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잎은 서로 어긋나 있고 손바닥 모양이며, 길이 6∼10㎝로 3∼5갈래로 되어 있으며 거친 털이 나 있다.

꽃은 여름에 노란색으로 피고 가을에 타원형의 과실을 맺는데 그 크기는 5∼10㎝이다. 이 열매는 왕과(王瓜)라 불린다. 해열 · 통유작용이 있어서 한방에서는 치료제로 이용된다.

약효는 당뇨병에 갈증이 심한 것을 치료하고 황달과 유방염 초기에도 특효를 나타낸다. 그리고 만성 인후염에도 소염효과를 나타낸다. 민간에서는 황달에 달여 먹는다. 임신부에게는 금하는 것이 좋다.

참고문헌

『향약채취월령』(안덕균 주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中藥大辭典』(江蘇新醫學院, 上海科技出版社, 1979)
국가표준식물목록 (www.nature.go.kr/kpni/)
『조선식물명집』(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조선식물향명집』(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