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곡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지곡유고
지곡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태수의 시 · 서(書) · 기 · 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태수의 시 · 서(書) · 기 · 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4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 연대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제1·2책에 부(賦) 1편, 시 208수, 서(書) 192편, 제3책에 행장 11편, 묘기(墓記) 1편, 묘지 1편, 뇌사(誄詞) 1편, 묘지명 2편, 제문 9편, 통문 4편, 시아문(示兒文) 2편, 서(序) 1편, 기(記) 8편, 도(圖) 3편, 변(辨) 2편, 제발(題跋) 3편, 설(說) 4편, 도설(圖說)·책(策)·잡저 각 1편, 제4책에 소차(疏箚) 7편, 도 15편, 녹(錄) 2편, 연보 1편, 행록(行錄)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 가운데 「상현석선생서(上玄石先生書)」에는 상례(喪禮)를, 「답김계명문목(答金戒明問目)」에는 제례(祭禮)를, 「답성위보문목(答成渭輔問目)」에는 혼례(婚禮)를, 「상명재서(上明齋書)」에는 부위장자삼년복(父爲長子三年服) 등에 대해 문답한 내용을 담고 있어 예설(禮說) 연구에 참고가 된다.

또한, 「중씨장전시칠조서(仲氏掌銓時七條書)」에서는 편당(偏黨)·상벌(賞罰)·염치(廉恥)·구재(求才)·명감(明鑑)·지수(持守)·용인(用人) 등 7조목을 열거해가며 경계하고 있다. 특히 편당은 망국의 병폐가 된다고 역설하였다.

행장 가운데 「양녕대군장초(讓寧大君狀草)」에서는 양녕대군이 거짓으로 미친 체하여 세종에게 양위한 지덕(至德)을 찬양하면서, 양녕대군은 조선의 태백이라고 말한 선유(先儒)들의 논평에 동조하였다. 그리고 「구민책(救民策)」에서는 전포(田布)·구전(口錢)·강포(講布)·산전세(山田稅)·공상포(工商布)·유수벌(遊手罰)·승포(僧布)·노비포(奴婢布)·전제변통(田制變通)·군제변통(軍制變通) 등에 대해 자세히 논하였다.

도 가운데 「중용칠도(中庸七圖)」·「대학오도(大學五圖)」·「중용도(中庸圖)」등은 『중용』과 『대학』을 연구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또한, 「태극일도(太極一圖)」·「경지도(敬之圖)」 등은 태극의 이치를 탐색하고 경 공부(敬工夫)를 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