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경위 및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시 129수, 행장 1편, 제문 1편, 제발(題跋) 2편, 잡록(雜錄) 1편, 부록으로 제문 4편, 묘지명 1편, 묘갈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저자는 여산군수(礪山郡守)를 종직(終職)으로 은퇴하여 여강(驪江)가에 집을 짓고 음풍영월(吟風詠月)로 여생을 보낸 인물이며, 시는 청담(淸淡)·고아(古雅)하여 조식(彫飾)이 없다.
특히, 「차추흥사자시(次秋興思字詩)」에는 도잠(陶潛)을 흠모한 연정이 잘 나타나 있다. 제발 중 「제위학지방도후(題爲學之方圖後)」는 이이(李珥)가 만든 「위학지방도(爲學之方圖)」에 쓴 발문인데, 그것이 후학들을 유도(誘導)하는 데 절실한 자료가 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