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김경현의 아들 김한태(金寒泰)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한목(金漢穆)의 서문과 권말에 사위 이남호(李南浩)의 발문이 있다.
5권 3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308수, 권2에 서(書) 65편, 권3에 잡저 26편, 서(序) 23편, 권4에 기(記) 28편, 발 2편, 잠(箴) 3편, 명(銘) 3편, 찬(贊) 2편, 사(詞) 3편, 상량문 5편, 축문 3편, 권5에 제문 8편, 묘지명 1편, 묘갈명 4편, 행장 7편, 전(傳) 2편, 부록으로 가장(家狀) 1편, 기 1편, 서(序)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김평묵(金平默)·송병선(宋秉璿)·이희석(李僖錫)·이휴(李烋)·송기로(宋綺老) 등과 주고받은 것으로, 척사위정 등 시사에 관한 내용이 많다. 잡저의 「희희설(噫噫說)」은 개화에 따라 양복을 입고 머리를 깎는 것을 오랑캐 풍속이라 하여 배척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독주자논성리장유감(讀朱子論性理章有感)」에서는 저자가 기호학파의 일원으로 주기론적 관점에서 성리학 이론을 전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동학변(東學辨)」은 동학을 사설(邪說)로 배척하는 내용이며, 「자경문(自警文)」·「면학설(勉學說)」·「계자설(戒子說)」 등은 수신·제가에 관한 내용이다.
기에는 호기(號記)가 대부분이며, 그밖에 고광우(高光愚)의 처 공씨(孔氏)의 정려기(旌閭記)가 있다. 발에는 효자 김성령(金聖齡)의 「정려기발문」 등이 있다. 잠은 「자경잠(自警箴)」·「독서잠(讀書箴)」·「선선잠(善善箴)」 등 수신 및 교훈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명의 「칠명(七銘)」은 연(硯)·필(筆)·묵(墨)·금(衾)·침(枕)·욕(褥)·석(席) 등을 주제로 하여 스스로 경계하고자 하는 내용이다.
그밖에 효자 신석흠(愼錫欽)의 묘갈명과 효자 이언호(李彦浩)·김양현(金養鉉) 등의 행장, 효자 안세룡(安世龍)과 충비(忠婢) 귀례(貴禮)의 전기가 있다. 부록의 「지운당기(止雲堂記)」는 김평묵이 지은 것이며, 「지운재서(止雲齋序)」는 이희석과 송기로가 지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