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시왕도 ()

목차
관련 정보
지장시왕도
지장시왕도
회화
유물
국가유산
고려시대의 불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지장시왕도(1990)(地藏十王圖(1990))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0년 09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시대의 불화.
개설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11.1㎝, 가로 60.4㎝. 호림박물관 소장. 지장보살상과 시왕을 한 폭에 그렸다. 상하 2단 구도를 보여 주는 전형적인 고려 불화의 구도를 나타내고 있는 지장시왕 그림으로 베를린동양미술관의 지장시왕도와 흡사하다.

내용

시왕과 사자(使者) 같은 권속이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존인 지장보살을 향하여 펼치듯 구성되어 있으며, 본존을 떠받치고 있다. 권속의 앞줄 중심에는 사자가 묘사되었다. 얼굴을 뒤로 돌리면서 포효하고 있어서 본존과 대칭을 이루고 있다.

본존은 두건을 쓰고 있다. 갸름하면서도 고운 모습으로 이목구비가 단아하고 미소가 어렴풋이 감돌고 있다. 신체도 단정하고 아담하며 오른손은 들었고 왼손은 무릎 위에 놓았다. 오른손은 바닥에 보주(寶珠)를 얹었다고 추정된다.

천의(天衣)도 단정하게 걸쳤지만 왼팔의 옷고리 치레와 W자형 옷주름, 가슴의 화려한 목걸이 등은 14세기 고려 불화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옷깃 등에 표현된 화려한 꽃무늬도 금선들이 많이 탈락되었지만다른 고려 불화의 꽃무늬들과 유사하며, 옷자락이 대좌 아래로 늘어뜨려져 있다.

권속은 뒤쪽부터 좌우에 사천왕 각 2구, 도명존자 · 무독귀왕 각 1구, 범천 · 제석천 각 1구, 시왕 각 5구, 사자 각 1구 등이 배치되었다. 그리고 아래 인물에서부터 점차 올라가면서 커지고 있다. 이른바 소박한 원근법을 사용한 것이다. 인물들은 대체적으로 풍만하게 묘사되어 있다. 제석 · 범천상은 다른 불화의 보살상과 흡사하게 귀족적이고 풍만한 편이다. 그리고 사천왕이나 시왕상들도 제각기 개성 있게 묘사하여 이 그림의 격을 높여 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1991년 대대적인 보수를 하여 후보(後補)한 것은 과감히 없애고 원형을 많이 살려 냈다. 독일 베를린동양미술관의 지장시왕도와 함께 고려의 대표적인 지장시왕도의 하나로 높이 평가되는 명품이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1990 지정편(문화재관리국, 199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